보살사 영산회 괘불탱 ( ▽)

목차
관련 정보
청주 보살사 영산회괘불탱
청주 보살사 영산회괘불탱
회화
작품
국가유산
충청북도 청주시 용암동 보살사에 있는 조선 중기의 불화.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보살사 영산회 괘불탱(菩薩寺 靈山會 掛佛幀)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불도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97년 08월 08일 지정)
소재지
충북 청주시 상당구 낙가산로 168(용암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북도 청주시 용암동 보살사에 있는 조선 중기의 불화.
개설

1997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1649년(인조 27년) 작.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660㎝, 가로 420㎝.

내용

초대형의 거대한 화면을 가득히 메운 이 불화는 괘불탱화(掛佛幀畫)로서 중앙에는 석가부처가 화면을 압도하게끔 큼직하게 그려져 있다. 현란한 키형 광배를 배경으로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에 결가부좌(結跏趺坐)의 자세로 앉아 있다. 위엄에 넘친 석가불의 모습은 근엄한 얼굴, 당당한 상체 그리고 듬직한 하체가 잘 조화를 이루고 있다. 이와 함께 뾰족한 육계(肉髻), 큼직한 계주(髻珠), 작은 코와 입에 비하여 유난히 큼직한 눈, 물고기 모양의 도식적인 귀 등은 전형적인 당시 불상의 상호(相好) 특징이다.

우견편단(右肩偏袒)의 착의로 노출된 오른쪽 상체의 당당함과 상대적으로 수척한 팔, 대의(大衣)의 옷깃에 표현된 치밀한 꽃무늬와 발목의 연꽃잎 같은 옷깃 등은 역시 당시 불상의 특징을 잘 보여 주고 있다.

부처의 무릎 아래에는 설법을 청하는 청문자(聽聞者)가 있다. 그리고 좌우 끝단에는 사천왕(四天王)이 2구씩 배치되었다. 불상의 두 무릎 주위로 문수(文殊)와 보현(普賢) 등 8대보살과 범천(梵天)과 제석천(帝釋天)이 둘러싸고 있다.

불상의 어깨 좌우로는 10대제자가 개성 있는 표정으로 묘사되었다. 그 좌우로 팔부중(八部衆)이 일렬종대로 배치되었는데 모두 투구를 쓰고 위엄에 찬 모습이다. 부처님의 머리 좌우와 위로는 화신불(化身佛)과 타방세계불(他方世界佛)들이 현란한 오색 구름에 감싸여 있다.

이처럼 대형의 화면이기 때문에 본존불을 압도적으로 크게 그렸다. 하지만 호위하는 무리, 보살 무리, 제자 무리, 청문 무리 등 일체 대중들까지도 모두 묘사되었을 뿐 아니라, 각 상(像)들은 제각기 개성 있는 상호와 독특한 제스처를 자유자재로 그려 내었다는 데 커다란 의의가 있지 않나 한다.

뛰어난 구도와 개성 있는 형태와 더불어 홍색과 녹색, 금색과 군청색 등 다양한 색채가 이루는 밝고 화려하며 선명하고 다채로운 색채의 아름다움은 영산 회상(靈山會上)의 신비한 법열(法悅)의 세계를 잘 표현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미』16 조선불화 (문명대 감수, 중앙일보사, 1984)
『한국의 불화』(문명대, 열화당, 1977)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