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원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유적
고려시대, 임진강과 예성강 등에서 구제와 자선사업을 위해 설립되었던 사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보통원은 고려시대 임진강과 예성강 등에 설립되어 여행객들이나 굶주린 백성들에게 음식을 제공하던 사찰이다. 임진 보통원, 서보통원 등 다양한 명칭이 있고, 위치도 여러 곳으로 추정되어 보통원이라는 이름의 사찰이 고려시대 개경 혹은 개경 인근의 여러 곳에 세워졌던 것으로 보인다. 고려시대 사찰이 신앙의 공간뿐만 아니라 구휼에도 참여하여 사회적인 역할을 하는 곳이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목차
정의
고려시대, 임진강과 예성강 등에서 구제와 자선사업을 위해 설립되었던 사찰.
내용

설립연대는 알 수 없으나, 1064년(문종 18) 5월 15일부터 7월 15일까지 임진보통원(臨津普通院)에서 무료로 나그네들에게 음식을 베풀었고, 1071년 12월에는 현덕궁(玄德宮)에서 반출한 500석의 쌀을 가지고 서보통원(西普通院)에서 영세민을 위하여 식사를 제공하였으며, 1101년(숙종 6)에는 임진현 보통원에서 4월부터 7월까지 3개월 동안에 걸쳐 무료로 나그네들에게 식사를 제공하였다는 기사가 『고려사』 식화지(食貨志)에 기록되어 있다.

한편 고려 후기 사료부터 등장하는 서보통사(西普通寺)를 서보통원으로 보기도 한다. 『보한집(補閑集)』에는 최우가 보제사, 광명사, 서보통사에서 담선법회를 열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때 이규보가 지은 글이 『동국이상국집』에 전하고 있다. 이규보의 글에서 보제사, 광명사와 함께 서보통사를 3대선우(三大禪宇)라 칭하고 있어 서보통사는 고려 후기 대표적인 선종 사찰이었음을 알 수 있다. 고려 후기 문집과 달리 『고려사』에는 ‘서보통’으로만 기록되어 있다, 서보통원은 개경성 바로 근처에 있었기 때문에 고려 후기 개경을 지키는 군대가 진을 치는 장소가 되기도 했고, 충렬왕이나 충선왕비, 명나라 사신 등을 맞이하거나 주2 장소가 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충렬왕의 장례를 마친 뒤 석복도량을 서보통원에서 열었고, 공민왕 때는 신돈이 관료들의 호위를 받으며 서보통원에서의 주3에 참여하기도 했고, 우왕 때에는 이곳에 탑을 세우기도 하는 등 고려 후기에는 국가적으로도 중요한 사찰이었다.

개성주4 인근에서 운영된 보통원의 위치와 갯수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견해가 있다. 임진현 보통원은 임진강 부근에 세워진 것이고, 이와는 달리 서보통원도 있었으며, 기록에는 없지만 서보통원이 있으니 동보통원도 따로 있었던 것으로 보아 나그네나 영세민을 위하여 무료로 식사를 제공하였던 보통원이 셋이 있었다는 견해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보통원이 임진강과 예성강의 동서에 있었고, 임진보통원이 동보통원이라고 하여 보통원이 두 개 있었다고 보는 주장도 있다. 이 가운데 구체적인 위치가 기록된 것은 서보통원으로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개성 영평문 밖에 있다고 하였다. 개성 서보통원은 1574년(선조 7) 기록에도 보이고 있어 조선 전기까지도 개성 지역을 오가는 사람들을 위한 원(院)의 기능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신증동국여지승람』 역원조에는 개성부 외에도 여러 지역에 보통원이 기록되어 있어 고려시대 이래로 전국 각지에 보통원이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고려시대 조성되었던 보통원의 기원은 당나라의 오대산(五臺山)에 설치되었던 보통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문수보살(文殊菩薩)주5인 오대산을 찾는 순례자들의 편의를 돕고 주6의 불편을 없애주려고 산중턱에 이르는 동쪽과 서쪽의 양쪽 길에 반나절 거리마다 보통원을 설치하여 무료 숙박소 또는 무료 휴식소의 구실을 하였다. 이곳에는 승려나 속인을 가리지 않고 누구나 숙박할 수 있고 항상 밥과 죽을 준비하지만, 때마침 밥이 없으면 주지 않아도 되게끔 원칙이 정해져 있었다. 또, 승려과 속인, 즉 승속을 가리지 않고 다 같이 함께 숙박하기 때문에 이름이 보통원이라 하였다. 이로 미루어보아 보통원은 나그네와 빈궁자들을 위해서 식사를 제공하였을 뿐만 아니라, 무료 숙박소 또는 무료 휴게소의 구실도 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
『동국이상국집』
『보한집(補閑集)』
『신증동국여지승람』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
『조천기(朝天記)』
주석
주1

수입이 적어 몹시 가난한 사람. 우리말샘

주2

보내는 쪽에서 예를 차려 작별하다. 잔치를 베풀어 작별한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우리말샘

주3

설법, 독경, 강경(講經), 법화(法話) 따위를 행하는 자리. 우리말샘

주4

경기도 서북부에 있는 시. 인삼의 명산지이며, 예로부터 보부상이 유명하다. 남대문, 만월대, 선죽교, 숭양 서원 따위의 명승지가 있으며, 천연기념물인 크낙새가 서식한다. 면적은 50.366㎢. 북한에서는 1955년 행정 구역 개편 때 개풍군의 영남면과 영북면을 흡수하여 개성직할시의 중심 도시로 재편성하였다. 우리말샘

주5

신령이나 부처를 모신 신성한 곳. 우리말샘

주6

집 밖에서 자거나 밤을 지냄. 우리말샘

주7

승려와 승려가 아닌 속인(俗人)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