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화 북지리 마애여래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봉화 북지리 마애여래좌상 정면
봉화 북지리 마애여래좌상 정면
조각
유적
국가유산
경상북도 봉화군 물야면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 시기의 마애불.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봉화 북지리 마애여래좌상(奉化 北枝里 磨崖如來坐像)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보(1980년 09월 16일 지정)
소재지
경북 봉화군 물야면 북지리 산108-2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봉화군 물야면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 시기의 마애불.
개설

1980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4m. 암산을 파서 거대한 감실형 석실을 만들고 원각에 가까운 커다란 불좌상을 고부조로 새긴 것이다. 현재 감실(龕室)의 윗부분이 떨어져 나갔고 불상 자체도 다소 파괴되고 풍화까지 된 상태이다. 감실형 광배에는 화불이 배치되었는데 일부가 깨어졌고, 불상 좌우에 공간이 있어서 협시보살이 안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내용

얼굴은 넓고 큼직하며 양감이 두드러지게 나타나지만 풍화 때문에 원 모습이 다소 손상되었다. 그러나 고졸한 미소가 전면에 나타나 있어서 박진감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어깨는 다소 움츠린듯하지만 체구는 당당한 편이며, 불(佛)의 위엄이 잘 나타나 있다.

통견의 대의(大衣)는 가슴 등이 손상되어 불확실한 면도 있지만 장중한 특징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 옷자락은 대좌를 덮어내려 상현좌를 이루고 있는데 역시 고식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여러 특징은 익산 연동리 석조여래좌상이 연상되며 이런 특징이 더 진전되면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으로 이행될 것이다. 그러므로 이 마애불상은 7세기 전반기의 고신라불상일 가능성이 크지만 실제적 연대는 7세기 후반인 고신라 말 통일신라 초기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한국조각사』(문명대, 열화당, 1980)
「봉화북지리의 마애불상」(정영호, 『고고미술』29, 한국미술사학회, 1962)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