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안김씨 종중 고문서 일괄 ( )

목차
관련 정보
부안김씨 종중 고문서 일괄 중 교지
부안김씨 종중 고문서 일괄 중 교지
조선시대사
문헌
문화재
전북특별자치도 부안의 부안김씨 종중에 소장된 유학서. 종가유물.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부안의 부안김씨 종중에 소장된 유학서. 종가유물.
개설

1986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부안 김씨 종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6종 80점의 고문서이다. 연산군 · 중종 때의 문신 김석필(金錫弼)에게 발급된 교지 및 분재기를 비롯해 그 외 자손들에게 발급된 유지 · 명문 등 중요한 문서류를 뽑아 일괄해 지정한 것이다.

내용

그 지정된 종류별 내용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① 유지(有旨): 1600년(선조 33) 4월 6일 국왕의 특지에 의해 승정원에서 금산군수(錦山郡守) 김홍원(金弘遠)에게 상으로 표리(表裏: 옷감) 1벌을 내리는 유지 1점이다.

② 교지(敎旨) 및 교첩(敎牒): 연산군 · 중종 때 발급된 문신 김석필의 홍패교지(紅牌敎旨) · 사령교지(辭令敎旨) 23점과 선조 · 광해군 때 발급된 김홍원의 백패교지(白牌敎旨) · 사령교지 27점으로 모두 50점이다.

③ 소지(所志): 1569년(선조 2) 강주신(姜周臣)이 지방관에 올린 소지, 1600년(선조 33) 금산군수 김홍원이 관찰사에게 휴가를 청하는 소지 및 1613년(광해군 5) 김홍원의 노비가 묵은 밭 개간을 청하는 소지 등이다. 당시의 사회상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④ 분재기(分財記): 1506년(중종 1) 김석필이 삼촌에게 받은 허여문기(許與文記)를 비롯해 중종∼광해군 사이에 그와 그의 아들 · 손자 등이 받은 허여(許與) · 화회(和會) · 별급(別給) 등 각종 분재문기(分財文記) 13점이다. 김씨 가문의 경제 사정은 물론, 당시 가족제도 · 경제 · 사회 등을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

⑤ 명문(明文): 1573년(선조 6)부터 1619년(광해군 11)까지 행해졌던 김씨 가문의 토지 · 노비의 매매문서 12점이다. 조선 전기의 토지 및 노비 제도 연구에 참고 자료가 된다.

⑥ 공신녹권(功臣錄券): 중종반정에 협찬한 공으로 정사원종공신(靖社原從功臣) 1등에 책록된 김석필에게 사급(賜給)된 것이다. 1507년(중종 2) 책의 형태로 편성, 초주갑인자로 인쇄된 것이나, 편의상 문서류에 포함시켰다. 서지학 연구 및 공신도감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부안 김씨 종중에는 1502년(연산군 2)에서 조선 말기까지 400년에 걸쳐 전래된 13종 500점의 문서가 소장되어 있는데, 그 중에 광해군 이전의 것만 뽑아 지정한 것이다.

부안김씨종중문서는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에 거주하는 김종덕(金鍾德)이 소장하고 있는데, 1983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탈초(脫草)해 분류, 정리해서 『고문서집성 2: 扶安金氏編』를 간행한 바 있다.

의의와 평가

지정된 문서 중 유지와 교지는 인사행정 제도 연구에, 소지는 사회상 연구에, 분재기와 명문은 경제 · 사회 · 가족 등의 연구에, 공신녹권은 공신도감 운영 및 서지 연구에 각각 중요한 자료들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부안김씨고문서조사보고서』(서병패, 문화재관리국, 1985)
『부안김씨우반고문서』(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3)
문화재청(www.cha.go.kr)
집필자
이정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