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록 ()

목차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시대 의 당쟁에 관련된 사실을 기록한 정치서.
목차
정의
조선시대 의 당쟁에 관련된 사실을 기록한 정치서.
내용

1책. 필사본. 선조대의 동서분당으로부터 영조대의 나주벽서사건(羅州壁書事件)에 이르는 붕당간의 갈등을 중심으로 기타 관계 기록을 모아 놓은 책이다. 편자는 미상이다.

책 첫머리에 열성계서지도(列聖繼序之圖)라 하여 목종(穆宗 : 李成桂의 高祖父)에서 고종에 이르는 계서도가 있다. 또한 순회세자(順懷世子 : 명종의 아들)로부터 가순궁 박씨(嘉順宮朴氏 : 純祖의 生母)에 이르는 원·묘(園墓)의 소재지가 실려 있다. 아울러 경모궁악장(景慕宮樂章)과 무천대방인출휘유곡(舞薦大方引出徽柔曲)이 있다.

학문이란 제목으로 동유(東儒)의 학문 연원에 관한 사실을 ≪지봉유설 芝峯類說≫·≪택당집 澤堂集≫·≪명신록 名臣錄≫·≪파한잡기 破閑雜記≫·≪한거잡록 閑居雜錄≫·≪정암집 靜庵集≫에서 발췌해 실었다.

다음으로 실려 있는 당화록(黨禍錄)으로는 세 종류가 있다. 첫번째는 1575년(선조 8) 동서분당의 경위, 이이(李珥)가 노수신(盧守愼)에게 건의해 당론 조정을 시도한 기사 및 1581년 이수진도미옥사건(李銖珍島米獄事件) 등에 관해서는 ≪율곡일기≫에서 발췌해 수록하였다.

또한 1591년의 남북분당과 선조 말의 대·소북의 분목(分目)은 ≪하계집 荷溪集≫과 ≪일월록 日月錄≫에서, 인조반정 뒤 서인의 노소서(老少西)의 분목에 관해서는 ≪지천집 遲川集≫의 내용을 싣고 있다.

이어 1683년(숙종 9) 노소분당은 ≪퇴재병후록 退齋病後錄≫에서, 1583년 계미삼찬(癸未三竄)에 관한 기록과 1571년 이준경유소(李浚慶遺疏)에 관한 기록은 ≪동옹서론 桐翁緖論≫에서 발췌해 수록하였다.

둘째로는 동서분당, 계미삼찬, 기축옥사, 남북분당, 계축옥사, 서궁유폐, 계해반정, 예송문제, 청탁남(淸濁南)의 분목, 경신대출척, 노소분당, 기사환국, 갑술옥사, 신임사화, 이인좌(李麟佐)의 난, 나주벽서사건 등을 차례로 서술하였다.

셋째로는 위의 당화록과 거의 같으나, 계해반정 후 남인에게 참판 이상의 관직을 주지 않으려는 것이 서인의 방침이었다는 것을 특기하고 있다. 이 밖에 갑술옥사 이후 70여년 동안 남인은 정계에서 밀려나 벼슬길이 막혀 겨우 성명(性命)을 유지하였을 뿐이고, 남인의 본거지인 영남에서도 1728년(영조 4) 이인좌의 난 뒤에는 역적으로 몰릴까 두려워 노론에 붙는 자가 많았다고 기술하였다.

또한 1755년 나주벽서사건 뒤에는 노론의 세력에 의탁해 관장(官長)과 결탁하고 교원(校院)을 빼앗고 남인에게 호령해 갈등이 끊이지 않았다고 기록하고 있는 점 등이 특이한 것이다. 그리고 붕당록이라 하여 각 당의 분목과 영수의 이름을 기록한 것이 있으며, 끝에는 노소분당에 관한 송시열(宋時烈)과 윤증(尹拯)의 회니시비(懷尼是非)의 문건이 수록되어 있다.

송시열과 윤증의 불화를 선명하게 나타내는 1681년의 신유의서(辛酉擬書)를 비롯, 1684년 두 사람이 교환한 서간문 8통, 명재여인서(明齋與人書), 미촌사지평소(美村辭持平疏), 박세채(朴世采)가 찬한 미촌행장강도시말(美村行狀江都始末), 회천고사계묘문(懷川告沙溪墓文), 우암여인서(尤庵與人書), 후동문답(後洞問答), 이산입설(尼山立說) 등이 수록되어 있다.

집필자
강주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