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집요 ()

목차
관련 정보
사례집요
사례집요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진상이 중국과 우리나라의 예학서를 참고하여 사례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1906년에 16권 9책으로 간행한 예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진상이 중국과 우리나라의 예학서를 참고하여 사례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1906년에 16권 9책으로 간행한 예서.
내용

16권 9책. 목활자본. 1906년 아들 승희(承熙)와 문인 곽종석(郭鍾錫) 등에 의하여 간행되었다. 권두에 이진상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장석영(張錫英)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권1·2는 통례(通禮)로 묘제(廟制)에 대한 49개 항목과 종법(宗法)에 관한 33개 항목, 권3에는 관례 7개 항목, 권4는 혼례에 관한 91개 항목, 권5∼14는 상례로서 권5의 총론에 초종(初終) 등 97개 항목, 권6에 성복(成服) 등 34개 항목, 권7의 상례추설(喪禮推說)에 유명용부(遺命用否) 등 77개 항목, 권8에 본생복의(本生服儀) 등 115개 항목, 권9는 장례(葬禮)로 3일장 등 76개 항목, 권10에 장례추설(葬禮推說)로 권장(權葬) 등 62개 항목, 권11은 우제(虞祭)의 장일우(葬日虞)·졸곡(卒哭)·소상(小祥)·대상(大祥)·담제(禫祭) 등 111개 항목, 권12에 상례추설(喪禮推說) 112개 항목, 권13에 부모해상(父母偕喪) 등 88개 항목, 권14는 객상(客喪)·거상추설(居喪推說) 등 67개 항목, 권15·16은 제례로서 권15에 총론·시제(時祭)·기제(忌祭)·묘제(墓祭)에 관한 66개 항목, 권16은 제례추설(祭禮推說)로 54개 항목 등이 수록되어 있고, 끝으로 각종 도식(圖式) 101편과 인용서목 등이 있다.

본서는 분량이나 내용적인 면에서 볼 때 전문적인 예설서(禮說書)라 할 수 있다. 주해의 각 단원마다 전거(典據)와 출처를 밝히고 있는데, 권말의 인용서목에는 『의례(儀禮)』·『오례의(五禮儀)』·『예기(禮記)』·『대대례(大戴禮)』·『퇴계집』·『율곡집』·『고봉집』·『서애집』·『사계집』 등 170여 종의 방대한 양의 문헌명이 수록되어 있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