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송유취 ()

목차
관련 정보
사송유취
사송유취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전기 관리 김백간이 사송(詞訟)의 처리에 참고가 되도록 필요한 법령을 편집한 지침서.
목차
정의
조선전기 관리 김백간이 사송(詞訟)의 처리에 참고가 되도록 필요한 법령을 편집한 지침서.
내용

김백간(金伯幹)이 수령으로 재직할 당시 ≪대명률≫·≪경국대전≫·≪대전속록 大典續錄≫·≪대전후속록 大典後續錄≫·≪대전주해 大典註解≫·≪각년수교 各年受敎≫ 중에서 사송에 필요한 조문을 뽑아서 분류해 한 권의 책을 만들었다.

이를 다시 심희안(沈希安)의 교정을 받아 출판해 사송을 처리하는 자의 지침이 될 것을 기대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그 뒤 그의 아들 태정(泰廷)이 전라감사로 재직할 당시인 1585년(선조 18)에 전주에서 목판본으로 간행하였다.

내용의 강조(綱條)는 상피(相避)·단송(斷訟)·청송(聽訟)·친착(親着)·결송일한(決訟日限)·금제(禁制)·위조(僞造)·속신(贖身)·진고(陳告)·정송(停訟)·속공(屬公)·매매(買賣)·매매일한(買賣日限)·징채(徵債)·입후(立後)·봉사(奉祀)·향역(鄕役)·면역(免役)·공신(功臣)·혜휼(惠恤)·혼가(婚嫁)·역로(驛路)·공천(公賤)·사천(私賤) 등 24개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각 강조의 조문은 ≪대명률≫·≪경국대전≫·≪전속록≫·≪후속록≫·≪대전주해≫·≪수교≫의 순서로 하여 인용한 법전을 음각으로 첫머리에 표시하고 조문을 수록했다.

강조 다음에는 참고용 부록으로 사손도(使孫圖), 각 법전의 실시 연월일, 역대 공신의 칭호, 중국의 연호와 황제의 재위 기간, 조선의 왕호와 원년, 재위년과 승하년, 사송 사건의 처리 순서인 청송식(聽訟式) 등을 수록하였다. 이 밖에도 동전이나 저화(楮貨)와 같은 화폐와 미(米)·포(布)와 같은 물품화폐의 환산기준에 관한 전폐준용(錢幣準用) 등도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당시 재판을 할 때에 적용할 조문을 번거롭게 찾아야 하는 불편을 덜어 주어 적용조문을 일목요연하게 참고할 수 있었다. 그리하여 조선 중기 이후 여러 곳에서 자주 출판되어 수령을 비롯한 청송관(聽訟官)의 지침서로 활용되었다.

또한 개인의 저서는 아니지만 현존하는 최초의 법률관계 편저이며 공적인 권위를 가지고 있었다. 후에 같은 내용에 부록을 첨가해 ≪결송유취 決訟類聚≫ 또는 ≪청송지남 聽訟指南≫이라는 이름으로 출판되기도 하였다. 또 이를 증보해 ≪결송유취보 決訟類聚補≫가 출판되어 통용되었다.

참고문헌

『원수교집록(原受敎輯錄)』
「신보수교집록·사송유취」(법제처, 『법제자료지 』16, 1964)
관련 미디어 (5)
집필자
박병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