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장사지 삼층석탑 ( )

목차
관련 정보
산청 삼장사지 삼층석탑 좌측면
산청 삼장사지 삼층석탑 좌측면
건축
유적
문화재
경상남도 산청군 삼장면 삼장사터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3층 석조 불탑. 시도유형문화재.
목차
정의
경상남도 산청군 삼장면 삼장사터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3층 석조 불탑. 시도유형문화재.
내용

높이 3.4m. 1972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하층기단에는 양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와 1개의 탱주(撑柱 : 받침기둥)가 새겨져 있고, 4매의 판석으로 구성된 하층기단 갑석(甲石)의 상면에는 호각형(弧角形) 2단의 상층기단받침을 조출하였다.

4매의 판석으로 조립된 상층기단의 면석에는 양 우주와 1개의 탱주가 새겨져 있고, 상면에는 근년에 새로 조성한 갑석이 있다. 탑신석과 옥개석은 각각 하나의 석재로 구성되었다. 탑신석에는 양 우주만이 새겨졌는데, 2층과 3층 탑신석은 새로 조성하였다.

옥개석의 하면에는 매층 각형 4단의 받침이 조출되었고, 상면에는 각형 2단의 받침을 각출하여 탑신석을 받고 있다. 낙수면의 경사가 완만하고, 추녀는 수평을 이루다가 전각(轉角)에 이르러 경쾌한 반전을 보이고 있다. 정상에는 앙화(仰花)가 남아 있다.

석탑이 있는 주변은 전체가 경작지로 변하였는데, 건물의 기단과 당간지주를 비롯한 여러 석조물이 남아 있다. 일제강점기 때 간행된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 朝鮮寶物古蹟調査資料》에 의하면, 석탑과 더불어 높이 3척, 폭 2척 규모의 동불좌상(銅佛坐像)이 있었다고 하나 현재는 그 흔적을 볼 수 없다.

2층기단을 구비하고 각각 1개씩의 탱주를 새겼고, 탑신과 옥개석 등에 표현된 여러 양식을 고려해볼 때 통일신라 말기인 9세기 후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문화유적총람』(문화재관리국, 1977)
『통일신라석조미술연구』(학연문화사, 1994)
『경남문화재대관-도지정편-』(경상남도, 1995)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박경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