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아부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 전기 일본국왕사(日本國王使)가 올 때 사용하던 통신부(通信符).
목차
정의
조선 전기 일본국왕사(日本國王使)가 올 때 사용하던 통신부(通信符).
내용

통신부는 두 가지가 있었다. 하나는 오우치(大內)에게 준 동제(銅製)의 통신부이고, 다른 하나는 일본국왕에게 주어 신표를 삼게 한 상아제(象牙製)의 통신부가 있다.

이 상아부를 만들어 주게 된 것은 1474년(성종 5) 일본국왕의 사신이 와서 일본국왕사와 제거추(諸巨酋)의 사신을 사칭하는 자가 많으니, 이를 방지하기 위해 통신부를 만들어 주기를 요청했기 때문이다.

이 요청에 따라 조정에서는 상아부 10개를 만들고 각 상아부를 둘로 나누어 우반부(右半部)를 일본에 보내어 사신을 보낼 때 휴대하게 하여 좌반부와 맞추어 보게 하였다. 상아부는 둘레가 4촌(寸)5푼(分), 원경(圓徑)이 1촌5푼의 원형의 크기였다.

그리고 양면에 ‘朝鮮通信(조선통신) 成化十年甲午(성화10년갑오)’라 전각(篆刻)하고, 좌에서 우로 제1부터 제10까지의 번호가 쓰여져 있었다. 국왕사에 한해서는 꼭 상아부가 있어야만 국왕사로서의 대접을 받을 수 있었다.

이 상아부는 경조사(慶弔使)·통신사·보빙사 등 여러 종류의 국왕사들이 사용하였다. 상아부의 제조 사용은 조선정부의 다원적인 대일무역을 가능한 한 일원화하고 국왕사의 사칭을 방지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었다.

그러나 일본측에서 보면 흥리왜인(興利倭人)이 사송왜인(使送倭人)이 되어 유리한 접대를 받는다는 보증이었다. 특히 대마도(對馬島)의 소오씨(宗氏)에게는 서일본의 여러 세력을 물리치고 조선 무역을 독점적으로 장악하는 계기가 되었다.

참고문헌

『조선전기(朝鮮前期) 대일무역(對日貿易) 연구(硏究)』(김병하, 한국연구원, 1969)
『조선전기(朝鮮前期) 대일교섭사(對日交涉史) 연구(硏究)』(이현종, 한국연구원, 1964)
『日朝關係史の硏究上·下』(中村榮孝, 吉川弘文館, 1965)
집필자
손홍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