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상원사 목조 문수동자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조각
유물
국가유산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상원사에 있는 조선 전기의 동자상.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平昌 上院寺 木造文殊童子坐象)
분류
유물/불교조각/목조/동자상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보(1984년 10월 15일 지정)
소재지
강원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1211-50, 상원사 (동산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상원사에 있는 조선 전기의 동자상.
개설

1984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98㎝. 이 동자상 안에서 발견된 복장유물(보물, 1984년 지정)에 의하면, 세조의 둘째 딸인 의숙공주(懿淑公主) 부부가 1466년(세조 12)에 문수동자상을 문수사에 봉안한다고 기록되어 있어, 왕실 발원의 동자상임을 알 수 있다. 동자상임을 알려주는 양쪽으로 묶은 동자 머리를 제외하면, 자세라든가 착의법(着衣法) 등에서 보살상 형식을 따르고 있는 독특한 형식의 동자상이다.

내용

왼쪽 다리는 안으로 접고 오른쪽 다리는 밖으로 둔 우서상(右舒相)의 자세를 취하였다. 또한 오른손은 들어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왼손은 내려서 엄지와 약지를 거의 맞댈 듯이 수인(手印)을 표현하였는데, 매우 섬세하다.

동자와 같이 앳된 미소를 띤 양감 있는 얼굴이라든가, 부드럽게 굴곡진 허리, 균형 잡힌 안정된 신체,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겨드랑이로 비스듬히 묶은 천의(天衣), 신체의 윤곽에 따라 자연스럽게 형성된 부드러운 옷주름 선 등에서 앞 시대의 영향이 엿보인다.

그러나 얼굴을 약간 숙인 모습이나 가슴 아래에까지 올라오는 상의(裳衣: 치마)의 윗부분을 수평으로 처리한 점, 불룩한 가슴의 젖꼭지 표현 등에서 같은 시기에 조성된 수종사(水鐘寺) 팔각오층석탑 출토 금동석가불좌상(1459∼1493년경)과의 친연성을 엿볼 수 있다.

이밖에 왼쪽 어깨에 N자형으로 드리워진 천의 자락이 한 번 둥그렇게 말린 점이나, 목걸이 이외는 장식이 거의 없는 점은 1476년(성종 7)경에 제작된 강진 무위사(無爲寺) 아미타여래삼존좌상의 협시보살상과 비슷하다.

의의와 평가

이 문수동자좌상은 연대와 발원자가 뚜렷하고 단독으로 봉안된 희귀한 예로서, 조선 초기의 조각사 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가 된다. 또한 세조 때의 흥불정책(興佛政策)에 힘입어 왕실에서 조성한 수준 높은 목조상으로, 조선적인 불상미를 새롭게 파악할 수 있는 대표적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중·근대(고려·조선) 조각과 미의식」(문명대, 『한국미술의 미의식』,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조선전기 조각양식의 연구 1」(문명대, 『이화사학연구』13·14, 이화사학연구소, 1983)
「수종사금동불감불화의 고찰」(류마리, 『미술자료』30, 국립중앙박물관, 1982)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