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직단 ()

목차
관련 정보
서울 사직단
서울 사직단
건축
유적
문화재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조선시대 토지신과 곡식신 제사 관련 제단. 단묘. 사적.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조선시대 토지신과 곡식신 제사 관련 제단. 단묘. 사적.
개설

1963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면적은 43,587㎡. 사직은 토지를 관장하는 사신(社神)과 곡식을 주관하는 직신(稷神)을 가리킨다. 두 신을 제사지내는 단을 만들어 모신 곳이 사직단(社稷壇)이다. 조선시대 사직단을 관장하던 관청은 사직서(社稷署)였다.

내용

『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禮)』에 기록되어 있는 조선 초기의 사직단을 보면, 한 가운데에 사단과 직단이 각각 동쪽과 서쪽에 위치하였는데 너비는 2장 5자이고 높이는 3자였다.

유의 한쪽 면의 길이는 25보(步)였으며, 사방으로 홍살문이 있었다. 그 밖으로 다시 네모난 담장이 둘러쌌으며 이 담장에도 역시 사방으로 홍살문이 있었다. 특히 홍살문은 모두 문이 하나인데 담장의 북문은 3개의 문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신이 출입하는 문이므로 격을 높이기 위한 것이었다.

유의 바깥 서남쪽에 신실(神室)이 있고 유의 북문과 담장의 북문 사이에는 국왕이 서 있는 자리인 판위(版位)가 있었다.

사직단은 임진왜란으로 건물들이 모두 불타버리고 단만 남았다. 주1는 개성의 목청전(穆淸殿)에 묻어 보관되었다가 평양으로 옮겨졌으며, 선조가 의주로 피난하게 되자 세자가 받들고 황해 · 강원도 등으로 다니다가 환도해서는 심의겸(沈義謙)의 집에 종묘의 신위와 함께 모셨다.

1596년(선조 29)에 신실을 지어 봉안하였다. 사직단이 완전히 중건된 시기는 명확하지 않으나 1603년(선조 36)에 사직단에 관한 기사가 나오는 것으로 보아 1608년(선조 41) 종묘가 중건되기 전에 복건된 것으로 보인다.

중건된 사직단은 초기의 모습을 거의 그대로 따랐지만 높이가 3자 4치이고 유의 한쪽 면의 길이가 22보인 것에서 알 수 있듯이 규모에서 약간 차이가 있었으며 부속 건물의 위치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1783년(정조 7) 편찬된 『사직서의궤(社稷署儀軌)』의 「사직서전도(社稷署全圖)」에는 부속 건물이 이전보다 많이 늘어났다. 서쪽에 제기고, 재생전, 전사청, 잡물고, 수복방 등이 위치하고 동쪽에 악기고, 안향청, 차장고, 악공청, 부장직소 등이 위치하는 등 양쪽에 퍼져 있었다.

사직에 제사드리고 관리하는 일이 더욱 많아지고 세분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현재는 사직의 규모가 매우 축소되었으며 부속 건물 가운데 재실(齋室)로 쓰이던 안향청과 정문만이 남아 있다.

조선의 사직 제사는 1년에 3번, 봄 · 가을 주2에 제사를 지내고, 기고(祈告) 제사도 사직에서 지냈다. 주현에서 지내는 사직 제사는 봄 · 가을 두 번 지냈으며, 국왕 대신 그 지역의 수령이 제사를 지냈다. 사직단은 종묘와 더불어 ‘국가’ 자체를 지칭하는 대명사로 쓰일 정도로 상징적인 곳이었다.

참고문헌

『사직서의궤(社稷署儀軌)』
『한국의 건축문화재 1 서울편』(홍대형, 기문당, 2011)
『조선시대 궁궐용어해설』(문화재청, 2009)
『사직단 정문 실측조사보고서』(문화재청, 2005)
문화재청(www.cha.go.kr)
주석
주1

죽은 사람의 영혼이 의지할 자리. 죽은 사람의 사진이나 지방(紙榜) 따위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2

민간이나 조정에서 조상이나 종묘 또는 사직에 제사 지내던 날. 동지 뒤의 셋째 술일(戌日)에 지냈으나, 조선 태조 이후에는 동지 뒤 셋째 미일(未日)로 하였다.    우리말샘

집필자
김왕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