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총대친림연회도 ()

목차
관련 정보
서총대 친림연회도
서총대 친림연회도
회화
유물
문화재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 소수서원(紹修書院)에 있는 기록화.
목차
정의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 소수서원(紹修書院)에 있는 기록화.
개설

1988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1560년(명종 15) 9월 19일 창덕궁 서총대(瑞葱臺)에 왕이 친림한 가운데 문무신들에게 내려진 사연(賜宴)의 광경을 묘사한 궁중 행사도(宮中行事圖)이다.

내용

이 연회에서 명종은 문신들에게는 어제(御製)를 내려 시를 지어 올리게 하고 무신들이 짝을 지어 활 쏘는 것을 관람하였다. 3품 이상에게는 계상(階上)으로 올라와 헌수하게 하였고, 내탕고(內帑庫)의 호피와 표피, 어촉(御燭), 태복시(太僕司: 고려ㆍ조선 시대에, 궁중의 수레와 말을 관리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의 말 등을 상으로 하사하였다.

이튿날 참연제신(參宴諸臣)들은 대궐에 모여 전문(箋文)을 올려 사은한 뒤, 이 사실을 그림으로 그려 보존할 것을 결의하였다. 이 일은 예조(禮曹)에서 관장하였고 그림은 1564년에야 완성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같은 해 4월 16일자로 쓰여진 참연제신 중의 한 사람인 좌찬성 홍섬(洪暹, 1504-1585)의 서문을 통해서 확인된다.

그림은 ‘瑞葱臺親臨宴會圖(서총대친림연회도)’라고 쓴 전서체(篆書體)의 제목, 연회 장면, 서문, 참연제신의 좌목(座目: 서열을 적은 목록)으로 구성된 계축(契軸) 형식이다. 좌목에는 영의정 상진(尙震, 1493-1564)으로부터 행예문관 검열(行藝文館檢閱) 황정욱(黃廷彧, 1532-1607)까지 관직 서열에 따라 총 74명의 신상 명세가 쓰여 있다.

화면을 보면 어좌가 마련된 서총대를 중심으로 그 좌우에는 문무신이 품계에 따라 열을 달리하여 앉아 있고 주탁(酒卓)이 화면 중앙에 놓여 있다. 그 아래에는 여기(女妓)와 악공이 어좌를 향해 자리 잡고 있다. 차일(遮日) 밖 양옆에는 수목이 한 그루씩 배치되고 임금이 하사한 호표피(虎豹皮)와 태복마(太僕馬: 사복시에서 관리하던 말)도 묘사되어 있다.

이야기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가 화면을 좌우대칭으로 구성하는데 일조하였다. 부감(俯瞰)의 시점에서 바라본 행사장을 정면관(正面觀 : 앞에서 바라본 모습) 위주로 안정감 있게 구성하는 행사도의 기본적인 양식을 보여 준다. 문무신·악공·기녀 등 모든 인물의 복색은 적색으로 설채(設彩 : 색을 칠함)되었고, 그 외의 부분에 백·청·녹·갈색이 약간 사용되었다.

참고문헌

『조선시대 음악풍속도』Ⅰ(서인화·진준현, 민속원, 2004)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박정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