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군 ()

목차
의생활
물품
고려시대 여성들의 속치마.
목차
정의
고려시대 여성들의 속치마.
내용

선군은 조선시대의 무지기와 같은 제도의 것으로서, 길이가 각각 다른 여러 개의 치마를 한 허리에 달아서 겉치마의 폭이 풍성히 퍼지도록 하기 위하여 입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이 선군을 여러 겹으로 해 입는 것을 자랑으로 하였고, 겉치마는 8폭에 길이가 매우 길어서 걸을 때는 겨드랑이 밑에 끼고 다녔다고 하는데, 이로 말미암아 부귀한 집안의 처첩들은 치마 한 벌 만드는 데도 옷감이 7, 8필이나 들었다고 한다.

일반 서민 부녀들도 선군을 입었는데, 의(衣)나 상(裳)에 있어 옷감에 차이가 있듯이 옷감의 차별과 함께 계급이 낮을수록 무지기의 수가 더 적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 선군은 조선시대에까지 이어져 무족상(無足裳) 혹은 무지기라고 불리는 3층·5층 혹은 7층의 속치마로 발전되었다.

참고문헌

한국복식사연구(柳喜卿, 梨花女子大學校出版部, 1980)
집필자
홍나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