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4.5m. 1979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하층기단에는 양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와 2주의 탱주(撑柱 : 받침기둥)가 새겨졌고, 갑석(甲石)의 상면에는 호각형(弧角形) 2단의 받침을 조출하여 상층기단을 받고 있다.
4매의 판석으로 이루어진 상층기단의 면석에는 양 우주와 2주의 탱주가 새겨져 있다. 상면에 놓인 갑석의 하면에는 각형 1단의 부연(副椽)이 있고, 상면에는 각형 2단의 받침을 조출하여 초층탑신을 받고 있다. 탑신석과 옥개석은 각각 하나의 석재로 구성되었다.
탑신석에는 양 우주가 새겨졌데, 초층탑신은 2매의 석재로 구성되어 있는데, 2층탑신에 비해 높게 조성되었으며 복원시 사리공(舍利孔)이 확인된 바 있다. 옥개석의 하면에는 매층 각형 5단의 받침이 조출되었고, 상면에는 각형 2단의 탑신받침대를 각출하고 있다.
낙수면의 경사가 완만하고, 추녀는 수평을 이루다가 전각(轉角)에 이르러 살짝 반전되어 안정된 형태를 보이고 있다. 이 석탑은 무너져 있던 것을 1979년에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하였는데, 사찰 전면의 높직한 봉우리에 건립되어 있다.
이처럼 사찰의 중심에서 벗어나 산 봉우리에 석탑을 건립하는 예는 통일신라말기부터 등장하는데, 그당시 성행했던 풍수지리설에 건탑(建塔)의 기반을 두었던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안정된 체감비(遞減比)와 각 부의 양식으로 볼 때 통일신라 말기인 9세기 전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