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높이 87㎝, 불상 높이 65㎝. 1979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도개중고등학교 교정에 있는 2구의 보살상 중 광배가 뚜렷하고 조각이 섬세한 1구의 상이다. 원래는 도개중고등학교에서 동쪽으로 약 2km 떨어진 산록에 방치되어 있었다.
이 보살상은 대좌(臺座와 광배(光背 : 회화나 조각에서 인물의 성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해서 머리나 등의 뒤에 광명을 표현한 둥근 빛)가 모두 한 돌로 조성되었다. 현재 광배의 상부와 머리 부분이 파손되어 상호(相好 : 부처의 몸에 갖추어진 훌륭한 용모와 형상) 각부와 표정 등은 알 수 없다.
얇게 입혀진 천의(天衣 : 천인(天人)이나 선녀의 옷)의 각선도 많이 마모되었고, 양손, 오른쪽 무릎과 대좌의 일부도 파손되었다. 그러나 전체의 형태를 파악하는 데는 무리가 없다.
보발은 양 귀를 거쳐서 부드러운 곡선으로 처리된 어깨 쪽으로 흘러내리고 있다. 오른손은 가슴 앞에서 연꽃가지를 들고 있다. 왼손은 무릎 위에 놓았는데 꽃가지를 받치고 있는 듯하다. 천의는 양쪽 어깨에 걸쳐 사각형의 대좌 앞면에까지 흘러내리고 있다.
상현좌(裳懸座 : 불상의 옷주름에 가려져 보이지 않는 대좌)의 표현이 독특하다. 광배에는 덩굴무늬 · 연꽃무늬 · 불꽃무늬 · 화불 등을 고부조(高浮彫 : 높은 돋을새김.)로 새겨서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광배 뒷면에 조각된 비로자나불좌상이다. 이 불상은 마치 상 · 중 · 하대로 구성된 대좌를 상징하듯 하단에 단판(單瓣 : 홑잎) 앙련(仰蓮 : 위로 향하고 있는 연꽃잎)을, 중단에는 운문(雲文 : 구름무늬)을 조각하였다. 그 위에 연화좌에 결가부좌한 불상을 아담하게 부조하였다.
지권인(智拳印 : 왼손 집게손가락을 뻗치어 세우고 오른손으로 그 첫째 마디를 쥔 손 모양)을 결한 이 비로자나불상의 머리에는 큼직한 원형의 두광(頭光 : 부처나 보살의 정수리에서 나오는 빛)이 있다. 그리고 두광으로부터 2조의 선으로 신광(身光 : 부처나 보살의 몸에서 발하는 빛)을 표현하였다.
앞면의 보살상과는 달리 이 불상은 비교적 보존 상태가 좋다. 머리 위에는 큼직한 육계(肉髻 :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가 있고, 법의(法衣 : 중이 입는 가사나 장삼 따위의 옷)는 통견(通肩 : 어깨에 걸침)이며 정제된 자세이다.
연화대좌의 표현 등에서 조각이라기보다는 회화적이라는 느낌이 강하다. 고려시대 마애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기법이다.
이런 양면 배례(兩面拜禮)의 흔적은 경주 남산 보리사(菩提寺)석불좌상에서도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상처럼 보살상의 광배 뒷면에 불상이 조각된 예는 상당히 드문 경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