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암사 영산회상도 ( )

목차
관련 정보
순천 선암사 영산회상도
순천 선암사 영산회상도
회화
작품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선암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선암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
내용

1765년(영조 41) 작. 삼베바탕에 채색. 세로 590㎝, 가로 394㎝.

넓은 대웅전의 후불벽면을 꽉 채운 초대형의 이 불화는 영축산(靈鷲山)에서 설법하는 석가모니불을 묘사한 영산회상도로서, 석가본존불은 거대한 화면을 압도하게끔 초대형으로 중상단(中上段)에 걸쳐 배치하고 있으며 다른 협시상들은 상대적으로 작게 그려져 있다.

그러나 문수(文殊)·보현(普賢) 등 화면의 아래쪽 협시보살들은 비교적 크지만 위로 올라갈수록 점점 작아지고 있는데, 어쨌든 이 협시들은 본존불의 광배에 따라 본존불을 둘러싸고 있는 것 같다.

본존불은 거대한 체구만큼 대담하게 묘사되고 있는데, 넓지만 각진 어깨, 당당한 체구와 함께 둥근 얼굴의 원만한 표정 등에서 앞에 앉은 괴체의 거대한 석가불상을 연상시켜주고 있다.

육계(肉髻)위에 큼직한 정상계주(頂上髻珠)만 표현된, 마치 털모자를 쓴 것처럼 보이는 머리와 함께 각진 체구, 둥근 얼굴 등은 해인사영산회상도(1729년 작)와 비슷한 것이다. 광배도 본존불처럼 붉은 테두리와 녹색바탕 등의 대담한 대비로 강렬한 인상을 주고 있다.

이러한 본존불의 형태는 약간 다른 의미에서 기타 협시상에도 묘사되었으며, 전 화면에 걸쳐 녹색과 붉은색의 대비에서도 그대로 적용되는 것 같다. 이 불화는 압도하는 구도, 대담한 형태, 강렬한 색의 대비 등으로 장엄한 분위기를 잘 묘사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불화』(문명대, 열화당, 1977)
『한국의 미 16-조선불화-』(문명대 감수, 중앙일보사, 1984)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