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춘령 ()

고려시대사
지명
고려시대, 윤관(尹瓘)이 동북 변경 지역을 개척하고 비(碑)를 세워 경계로 삼았다고 전해지는 고개.
이칭
이칭
선춘점(先春岾), 선춘현(先春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선춘령(先春嶺)은 고려시대에 윤관(尹瓘)이 동북 변경 지역을 개척하고 비(碑)를 세워 경계로 삼았다고 전해지는 고개이다. 1108년(예종 3) 1월경에 공험진을 축성하였으며, 같은 해 2월 13일(갑오일)에는 방어사를 두었다. 그리고 27일(무신일)에 공험진에 비를 세워 경계로 삼았다. 윤관이 비를 세운 지역이 공험진의 선춘령이었고, 선춘령은 두만강 이북 700리에 위치하였다는 지리 인식은 조선 전기 기록에서 확인된다.

정의
고려시대, 윤관(尹瓘)이 동북 변경 지역을 개척하고 비(碑)를 세워 경계로 삼았다고 전해지는 고개.
위치

선춘령의 구체적인 위치는 알 수 없으나 9성의 범위를 함경북도 길주(吉州) 일대까지로 보는 견해가 우세하다.

형성 및 변천

1107년(예종 2) 12월 14일(을미일)에 고려는 윤관(尹瓘)을 중심으로 17만 대군을 동원하여 동북 갈라전(曷懶甸) 지역으로 출정하였고 요충지에 성을 쌓기 시작하였다. 고려는 여진 촌락들을 간접 지배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거점마다 성곽을 축조하여 영토를 확보하고 남쪽 지역의 백성들을 이주시켜 신개척지를 직접 지배하고자 하였다.

1108년(예종 3) 1월경에 공험진(公嶮鎭)을 축성한 것으로 추정되고, 2월 13일(갑오일)에는 공험진 방어사(防禦使)를 두었다. 이어 27일(무신일)에 공험진 지역에 고려정계비(高麗定界碑)를 세워 경계로 삼았다.

공험진은 9성 가운데 경계가 되는 비가 세워진 곳이어서 일찍부터 그 위치에 관심이 많았다. 조선 초기의 세종(世宗)은 김종서(金宗瑞)로 하여금 공험진의 위치와 선춘점(先春岾)에 윤관이 세웠다는 비를 조사하게 하였다.

공험진의 위치나 9성의 범위에 대해서는 함흥평야설, 길주설, 두만강 이북설 등 여러 학설이 분분하다. 지금까지도 여러 학설이 논란이 되고 있는 이유는 관련 사료가 명확하지 않고 남북 분단으로 현지 성곽에 대한 고고학적 발굴이 어렵기 때문이다.

『고려사(高麗史)』나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의 본문 기록을 살펴보면, 윤관이 비를 세워 경계로 삼은 지역은 공험진으로 선춘령(先春嶺)에 관한 별도의 언급은 없다. 다만, 『고려사』 지리지의 서문이나 동계 연혁 서술 부분, 공험진 세주 등에 선춘령 기록이 있고 동북 경계로 삼았다는 내용이 서술되어 있다. 이는 선춘령에 대한 조선 전기의 지리 인식이 투영된 결과라 여겨진다. 조선 전기에는 윤관이 비를 세운 지역이 공험진의 선춘령이었고, 선춘령은 두만강 이북 700리에 위치하였다는 지리 인식이 있었다.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는 경원도호부에서 북쪽으로 700리 지점에 공험진이 위치하고 동북쪽으로 700여리 지점에 선춘현(先春峴)이 위치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공험진과 선춘현까지의 구체적인 노정이 기록되어 있다. 경계로 삼은 비석에서 ‘고려지경(高麗之境)’이라는 글자를 판독하였다는 기록도 있다.

의의 및 평가

『고려사』나 『고려사절요』 본문에는 선춘령에 관한 언급이 없다. 조선 전기에 이르러 윤관이 비를 세운 지역이 공험진의 선춘령으로 구체화 되었고, 두만강 이북 700리에 위치하였다는 인식이 일반화되었다.

조선 전기의 기록보다 고려시대 당시의 기록을 주목하면, 9성의 북단 지역은 길주였다. 1144년(인종 22)에 작성된 「 허재묘지명(許載墓誌銘)」 에는 9성 가운데 길주가 오랑캐의 변경과 가장 가까운 지역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영주청벽기(英州廳壁記)」에는 고려가 새로 개척한 지역이 장주(長州), 정주(定州)에서 사방 300리 지역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동인지문사륙(東人之文四六)』 세주에 9성 지역이 7일정(日程) 거리였다고 서술되어 있다. 이러한 기록들을 종합하여 보면 9성의 북단을 길주 지역으로 보는 견해가 유력하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동인지문사륙(東人之文四六)』
『세종실록(世宗實錄)』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허재묘지명(許載墓誌銘)」

논문

홍성민, 「사료의 재검토를 통해 본 고려 윤관의 여진정벌」(『역사학보』 250, 역사학회, 2021)
윤경진, 「고려의 동북 9성 개척에 대한 몇 가지 고찰」(『군사』 114,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20)
윤경진, 「고려 동북 9성의 범위와 ‘공험진 입비’ 문제」(『역사와 실학』 61, 역사실학회, 2016)
송용덕, 「고려의 일자명 기미주 편제와 윤관 축성」(『한국중세사연구』 32, 한국중세사학회, 2012)
송용덕, 「1107년~1109년 고려의 갈라전 지역 축성과 ‘윤관 9성’ 인식」(『한국사학보』 43, 고려사학회, 2011)
김구진, 「공험진과 선춘령비」(『백산학보』 21, 백산학회, 1976)
방동인, 「윤관구성재고: 구성설치 범위를 중심으로」(『백산학보』 21, 백산학회, 1976)
稻葉岩吉, 「高麗尹瓘九城考-特に英雄二州の遺址に就て-(上)」(『史林』16-1, 史學硏究會, 1931)
稻葉岩吉, 「高麗尹瓘九城考-特に英雄二州の遺址に就て-(下)」(『史林』16-2, 史學硏究會, 1931)
池內宏, 「完顔氏の曷懶甸經略と尹瓘の九城の役」(『滿鮮地理歷史硏究報告』, 1922)
津田左右吉, 「尹瓘征略地域考」(『朝鮮歷史地理』2, 南滿洲鐵道株式會社, 1913)
松井等, 「滿洲に於けゐ遼の疆域」(『滿洲歷史地理』2, 南滿洲鐵道株式會社, 1913)
집필자
송용덕(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