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곡시고 ()

목차
관련 정보
설곡시고
설곡시고
고려시대사
문헌
문화재
고려 후기의 문신, 정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376년에 간행한 시문집.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1981년 03월 18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중구
목차
정의
고려 후기의 문신, 정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376년에 간행한 시문집.
개설

2권 1책, 목판본. 1981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내용

이 책은 1375년(우왕 1)에 그의 아들 공권(公權, 初名은 樞)이 밀직제학(密直提學)으로 있을 때 편집하고, 1376년 굉찬사(宏贊師)에게 부탁하여 각판, 인쇄하게 한 것이다.

권 머리에 이색(李穡)이 지은 「설곡시고서(雪谷詩藁序)」와 이제현(李齊賢)이 쓴 「설곡시서(雪谷詩序)」가 있고, 다음에 그의 시고·서 등이 권1·2로 나누어 수록되어 있는데, 서 및 본문의 제6장까지 결락되었다.

권 끝에는 1376년(홍무 9)에 이방한(李邦翰)이 쓴 발문이 있는데, ‘洪武(홍무)’의 ‘武’자가 결획되어 있다. 이는 고려 2대 혜종의 이름을 피한 것으로 고려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특징의 하나이다. 그의 작품은 『고려사(高麗史)』나 이색의 서에서 평하였듯이 간결하고 우아하며 예스러운 것이 특징이다.

이 책은 사가판(私家板)인듯 판각이 지저분하고 거칠어 인쇄가 깨끗하지 못하고, 또한 후인(後印)이어서 글자에 마멸이 심하다. 그러나 고려 말 간본으로서 희귀본이므로 서지학연구와 고려 문학의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서울의 조동기, 조성은, 조영기, 조왕기가 소장하고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목은집(牧隱集)』
『국보(國寶)』12 서예(書藝)·전적(典籍)(천혜봉, 예경산업사, 1985)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정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