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남방옹가 ()

고전시가
작품
조선 중기에 정훈(鄭勳)이 지은 가사.
정의
조선 중기에 정훈(鄭勳)이 지은 가사.
구성 및 형식

자신을 소재로 그의 생활을 읊은 작품이다. 작자의 문집 『수남방옹유고(水南放翁遺稿)』에 전한다. 작품의 말미 부분이 망실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새 문헌자료가 발견되지 않고 있어 완전한 작품으로 보기는 어렵다.

내용

현재 남은 부분은 4음보 1행을 기준으로, 46행 8단이다. 내용은 제1단 서(序, 10구) 계산(溪山)과 지은이, 제2단 10구 춘경(春景), 제3단 20구 춘계생활, 제4단 18구 산수지락(山水之樂), 제5단 6구 하계생활, 제6단 10구 추계생활, 제7단 6구 동계생활, 제8단 11구 수사(愁思) 등으로, 계산 아래 자연과 벗하여 살면서, 철따라 변하는 4계절의 아름다움을 만끽하면서 그 속에서 안빈낙도하는 작자 자신의 일상생활을 읊고 있다.

“백로(白蘆)ᄅᆞᆯ 해혀고/홍료(紅蓼)ᄅᆞᆯ ᄀᆞᆯ아 안자/황화(黃花)ᄅᆞᆯ 잔ᄋᆡ ᄯᅴ워/호월(皓月)을 마자오니/ᄀᆞ업슨 청경(淸景)을/나 호자 맛다잇다/북풍이 소슬ᄒᆞ야/백운(白雲)이 표산(瓢散)ᄒᆞ니/원근 구학(丘壑)이/경요굴이 되엿거ᄂᆞᆯ/추미음시(皺眉吟詩)ᄒᆞ니 시흥이 더 새롭다/사시 가경(佳景)이 다제곰 뵈와거든/게오른 이몸이 한가ᄒᆞᆯ고…….” 이 작품은 사실적이며 구체적인 수법이 특색이며, 시어나 조사면에서 군데군데 빛나는 대목들이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사실적이며 구체적인 수법이 특색이며, 시어나 조사면에서 군데군데 빛나는 대목들이 있다. 이 작품의 가치는 조선 중기 작품의 일모를 살필 수 있다는 점 외에도 시인 정훈의 시의식 심층을 이해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된다.

참고문헌

『수남방옹유고(水南放翁遺稿)』
「정훈과 그의 시가고」(박요순, 『숭전어문학』2, 1973)
집필자
박요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