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학 ()

국립수산과학원
국립수산과학원
산업
개념
바다 · 강 · 호수와 같은 수계에 서식, 분포하는 수산생물에 대한 보호 · 관리 · 육성 등에 관해 연구하는 학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바다 · 강 · 호수와 같은 수계에 서식, 분포하는 수산생물에 대한 보호 · 관리 · 육성 등에 관해 연구하는 학문.
개설

수산학(水産學, fisheries science)은 인류의 생활에 유용한 수산자원을 제공받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을 연구하는 것뿐만 아니라 자연 및 환경의 변화, 인류에 의한 사고로 발생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자연·인문·사회과학적인 접근 방법을 이용한 종합 응용과학이다.

수산학에서는 어떻게 수계의 생산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것인가, 수계의 생물을 알맞은 때와 장소에서 어떻게 채포(採捕)하고 이용할 것인가, 또한 인류 생활에 어떻게 이롭게 만들 것인가 등에 대한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수산학의 세부 학문으로는 수산생물에 대한 자연적 또는 인위적 육성에 관한 연구인 양식학(養殖學)과 다양한 수계 환경·어종·경제성을 고려한 수산생물의 포획에 관한 어업학(漁業學), 그리고 포획된 어획물을 어떻게 이용·가공할 것인가에 대한 수산가공학(水産加工學)으로 분류한다. 넓게는 수산어가와 수산물 생산 및 소비에 관한 수산경영학(水産經營學)·수산경제학(水産經濟學) 등을 포함한다.

교육기관

우리나라의 수산학 교육은 1941년 부산고등수산학교(釜山高等水産學校)가 설립됨으로써 시작되었다. 이후 1944년에 부산수산전문학교(釜山水産專門學校)가 설립되었으며, 광복 후인 1946년 9월에 부산대학교 수산과학대학(水産科學大學)으로 승격되었다가 같은 해 12월에 국립부산수산대학(國立釜山水産大學)으로 분리·독립되었다.

이후 국립부산수산대학은 1996년에 국립부경대학교(國立釜慶大學校)에 통합되어 수산학 연구를 지속해 오고 있다. 기타 수산교육기관으로는 경상대학교 해양과학대학, 전남대학교 수산해양대학,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목포대학교 등이 있다.

연구기관

우리나라의 수산연구기관으로는 국립수산과학원이 대표적이다. 국립수산과학원은 1921년 수산시험장으로 수산연구를 시작하여, 1996년에 해양수산부 국립수산진흥원(國立水産振興院)으로 승격되었다. 이후 2002년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國立水産科學院)으로 변경되었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연구기획부(연구기획과·대외협력과·수산해양종합정보과·기술경영센터), 기반연구부(자원관리과·어장환경과·시스템공학과·식품안전과·수산생물방역과·해역이용영향평가센터), 운영지원과, 그리고 전략연구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속연구소로는 동해수산연구소, 서해수산연구소, 남서해수산연구소, 남동해수산연구소, 전략양식연구소, 중양내수면연구소, 고래연구소, 갯벌연구소, 수산식물품종관리센터 등이 있다.

이 외에도 한국해양수산개발원(韓國海洋水産開發院)과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 수산경제연구원(水産經濟硏究員) 등 여러 기관에서 수산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최근 연구동향

최근 수산학의 중점연구 분야는 수산 종자산업 육성 및 전략품종 개발, 친환경 고부가가치 양식기술 개발, 수산생명공학 산업화, 연근해 수산자원 조사·평가 및 예측, 친환경 고효율 어구 및 자동화 기술 개발, 수산 재난 대응기술 개발, 어장환경 분석, 수산물 이용 및 안전 관리기술 개발, 수산생물 방역기술 개발 등이다. 수산업의 미래 산업화를 위한 지속 가능한 수산자원 확보, 기후변화 및 생태계 보전, 안전한 수산물 생산, 친환경 양식기술 개발 등의 연구가 최근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

참고문헌

『국립수산과학원 연보』(국립수산과학원, 2013)
『수산의 이해』(김병호 외, 수산경제연구원, 2012)
『수산학개론』(장호영 외, 바이오사이언스, 2008)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김도훈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