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타사 대적광전 ( )

목차
관련 정보
홍천 수타사 대적광전
홍천 수타사 대적광전
건축
유적
문화재
강원도 홍천군 동면 수타사에 있는 조선후기 승려 공잠이 건립한 사찰건물. 불전. 보물.
목차
정의
강원도 홍천군 동면 수타사에 있는 조선후기 승려 공잠이 건립한 사찰건물. 불전. 보물.
내용

1971년 강원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고, 2024년 2월 보물로 승격되었다. 수타사는 임진왜란 때 폐허가 되었으나 1636년(인조 14) 공잠(工岑) 스님이 대적광전을 다시 지었다. 대적광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계(多包系) 단층 겹처마 팔작지붕건물이다.

높은 장대석(長大石) 기단 위에 세웠는데 기둥은 모두 둥근기둥으로 세웠다. 문은 중앙칸에 4분합(四分閤) 띠살문을 달고 양 옆칸에는 2짝 분합인 빗살문을 달았다.

한편 기둥 위에 창방(昌枋)을 놓은 다음 기둥머리를 짜맞추고, 이 기둥머리 사이에 주간포작(柱間包作)을 정면인 경우에 각각 1·2·1씩 배열하였다. 첨차 끝의 쇠서[牛舌]는 모두 수서[垂舌]로 되어 있다.

내부에는 바닥에 마루를 깔고, 뒤쪽 가운데 칸에 불단(佛壇)을 설치하였다. 양식적(樣式的)으로 보아 조선 초기적인 특징을 약간 보여주고 있다. 한편, 현존 수타사의 건물들은 조선 후기 인조~효종 때 거듭 지어진 것이다.

참고문헌

『문화유적총람』상(문화재관리국, 1977)
문화재청(www.cha.go.kr)
집필자
심용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