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도 ()

자연지리
지명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위도면 식도리에 있는 섬.
이칭
이칭
밥섬
지명/자연지명
면적
0.92㎢
높이
115.8m
둘레
해안선 길이 7.5㎞
소재지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위도면 식도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식도는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위도면 식도리에 있는 섬이다. 동경 126°20′, 북위 35°35′에 위치하며, 면적은 0.92㎢이고, 해안선 길이는 7.5㎞이다. 섬 중앙이 좁은 지협부(地峽部)를 이루어 동서 2개의 섬이 하나로 연결된 형상이다. 취락은 섬의 남쪽 해안에 집중해 있다. 주민의 대부분이 농업과 어업을 겸하고 있다.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위도면 식도리에 있는 섬.
명칭 유래

고슴도치의 모양을 한 위도(蝟島)에 대하여 식도는 고슴도치의 입 앞에 위치하고 있다고 해서 원래는 ‘밥섬’이라 불리다가 일제강점기 때 한자화되면서 식도(食島)로 바뀌었다.

자연환경

동경 126°20′, 북위 35°35′에 위치한다. 부안군 산내면 해안에서 서쪽으로 15.7㎞, 위도에서 북쪽으로 1㎞ 지점에 있다. 면적은 0.92㎢이고, 해안선 길이는 7.5㎞이다.

지질은 대부분 주1 망령봉응회암으로로 이루어져 있다.

섬 중앙이 좁은 지협부(地峽部)를 이루어 동서 2개의 섬이 하나로 연결된 형상이다. 동쪽의 최고봉 가마귀산(115.8m)을 포함해 섬의 크기에 비해 기복이 큰 산지로 이루어져 있으나 경사는 급하지 않다.

북쪽 해안은 암석 주2으로 주3가 발달되어 있고, 남쪽의 만(灣) 연안은 사빈 해안을 이루고 있다. 1월 평균 기온은 -0.2℃, 8월 평균 기온은 25.5℃, 연강수량은 1,136㎜이다.

변천 및 현황

2018년 기준으로 인구는 173명(남 104명, 여 69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117세대이다. 취락은 섬의 남쪽 해안에 집중해 있다. 토지 이용 현황은 논은 없고 밭 0.15㎢, 임야 0.70㎢이다. 주민의 대부분이 농업과 어업을 겸하고 있다. 주요 농산물은 마늘이며, 보리 · · 등이 소량 생산된다. 주요 어획물은 멸치 · 갈치 · 새우 등이며 주4 양식도 이루어지고 있다.

교통은 부안군 격포항에서 정기 주5이 운항되며, 위도-식도(식도항)-상왕등도-하왕등도로 노선이 연결되어 있다. 교육 기관으로는 위도초등학교 식도분교장이 있는데, 재학생이 없어 2019년 이후로 휴교 중이다.

참고문헌

단행본

『도서지』 (내무부, 1985)
『부안통계연보』 (부안군, 2021)
『유인도서현항』 (행정안전부, 2018)
『한국지명유래집』 전라·제주편 (국토지리정보원, 2010)
『한국도서백서』 (전라남도, 1996)

인터넷 자료

한국지질자원연구원(https://www.kigam.re.kr/)
해양수산부 연안포탈(www.coast.kr)
주석
주1

지질 시대의 구분에서 고생대와 신생대 사이의 시기. 지금부터 약 2억 4500만 년 전부터 약 6,500만 년 전까지이다. 겉씨식물이 번성하였고, 공룡과 같은 거대한 파충류를 비롯하여 양서류ㆍ암모나이트 따위가 번성하였다. 트라이아스기, 쥐라기, 백악기로 다시 나뉜다. 우리말샘

주2

노출된 바위가 암벽을 이루고 있는 해안. 우리말샘

주3

해안 침식과 풍화 작용에 의하여 해안에 생긴 낭떠러지. 우리말샘

주4

멍겟과의 원삭동물. 몸길이는 5~15cm이고 몸빛은 대체로 선홍색이다. 외피는 가죽 모양으로 질기고 얇으며, 표면에 젖꼭지 같은 돌기가 있다. 몸의 뒤쪽 끝에 있는 뿌리 모양의 돌기로 다른 물질에 부착해 생활한다.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5

정해진 시간이나 기간에 여객을 태워 나르는 배.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