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평산(平山). 예빈시별제(禮賓寺別提)를 지낸 진석(晉錫)의 아들로 인림(仁霖)이라는 이름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벼슬은 그림의 재능 덕으로 도화서별제(圖畵署別提)를 비롯해서 사옹원직장주부(司饔院直長主簿)·종친부전부(宗親府典簿)를 지냈고, 남평현감(南平縣監)·운봉현감(雲峯縣監)·금구현령(金溝縣令)·영월군수 등을 역임하였다.
전하는 작품은 적으나 남태응(南泰膺)의 『청죽화사(聽竹畵史)』에 의하면 강희안(姜希顔)에 이어 다음 시대의 화가로 손꼽힐만큼 화명(畫名)이 높았다고 한다.
그리고 새그림을 비롯한 영모화(翎毛畵)에 뛰어났던듯, 이황(李滉)의 『퇴계집(退溪集)』에는 수압(睡鴨)·연응(燕鷹)·월학(月鶴)·노안(蘆雁)·백로(白鷺)·미후(獼猴)·죽금(竹禽)·치작(稚鵲) 등 「제화팔절(題畵八絶)」이라는 화제시(畵題詩)가 전한다.
현존하는 유작으로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죽금도(竹禽圖)」가 알려져 있다. 소품이기는 하지만 대나무잎의 호방한 필세와 가지에 앉은 새의 정확한 사생력(寫生力)이 이룬 조화는 화명에 손색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