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림 ()

목차
관련 정보
죽금도 / 신세림
죽금도 / 신세림
회화
인물
조선전기 「죽금도」를 그린 화가.
이칭
이칭
인림(仁霖)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21년(중종 16)
사망 연도
1583년(선조 16)
본관
평산(平山)
주요 관직
도화서별제|사옹원직장주부|종친부전부|남평현감|운봉현감|금구현령|영월군수
목차
정의
조선전기 「죽금도」를 그린 화가.
내용

본관은 평산(平山). 예빈시별제(禮賓寺別提)를 지낸 진석(晉錫)의 아들로 인림(仁霖)이라는 이름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벼슬은 그림의 재능 덕으로 도화서별제(圖畵署別提)를 비롯해서 사옹원직장주부(司饔院直長主簿)·종친부전부(宗親府典簿)를 지냈고, 남평현감(南平縣監)·운봉현감(雲峯縣監)·금구현령(金溝縣令)·영월군수 등을 역임하였다.

전하는 작품은 적으나 남태응(南泰膺)의 『청죽화사(聽竹畵史)』에 의하면 강희안(姜希顔)에 이어 다음 시대의 화가로 손꼽힐만큼 화명(畫名)이 높았다고 한다.

그리고 새그림을 비롯한 영모화(翎毛畵)에 뛰어났던듯, 이황(李滉)의 『퇴계집(退溪集)』에는 수압(睡鴨)·연응(燕鷹)·월학(月鶴)·노안(蘆雁)·백로(白鷺)·미후(獼猴)·죽금(竹禽)·치작(稚鵲) 등 「제화팔절(題畵八絶)」이라는 화제시(畵題詩)가 전한다.

현존하는 유작으로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죽금도(竹禽圖)」가 알려져 있다. 소품이기는 하지만 대나무잎의 호방한 필세와 가지에 앉은 새의 정확한 사생력(寫生力)이 이룬 조화는 화명에 손색이 없다.

참고문헌

『퇴계집(退溪集)』
『청죽화사(聽竹畵史)』
『한국회화대관(韓國繪畵大觀)』(유복렬 편, 문교원, 1969)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오세창, 계명구락부, 1928)
「신세림(申世霖)의 묘지명(墓誌銘)」(고유섭, 『조선미술문화사논총』, 서울신문사, 1949)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태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