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일면 관음보살상 ( )

목차
관련 정보
십일면관음상 / 사무량심
십일면관음상 / 사무량심
조각
개념
머리에 11개의 얼굴이 표현된 관음보살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머리에 11개의 얼굴이 표현된 관음보살상.
내용

관음보살은 대승불교를 상징하는 보살 가운데 가장 자비스러운 보살로서 십일면관음보살은 특히 열한 가지의 얼굴 모습을 나타내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중생들을 구제하고자 하는 것이다. 정면에 세 얼굴(三面), 왼쪽에 세 얼굴, 오른쪽에 세 얼굴, 뒷면에 한 얼굴, 정상에 한 얼굴 등 모두 11면을 가지고 있다.

정면은 자상(慈相)으로 착한 중생을 보고 자비심을 일으켜 기쁨을 주고자 함을 상징한다. 왼쪽 얼굴은 진상(瞋相)으로 악한 중생을 보고 비심(悲心)을 일으켜 고통을 없애고자 한다. 오른쪽 얼굴은 백아출상(白牙出相)으로 정업(淨業)을 행하는 자를 보고 불도(佛道)에 더욱 정진하도록 찬양, 권장함을 나타낸 것이다.

뒷면 얼굴은 폭대소상(暴大笑相)으로 선악간에 모든 중생을 보고 악한 자는 고쳐 불도를 닦도록 한다. 그리고 정상 얼굴은 대승근기(大乘根機)를 가진 이들에게 가장 오묘한 불도를 설하는 것을 나타내고자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다양한 얼굴 표정으로 여러 가지 마음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적절히 구제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십일면상에는 팔이 둘 있는 것이 보편적이나 4 · 6 · 8개인 경우도 더러 있다. 이 역시 여러 가지 방법으로 중생을 구제하기 위한 것이다. 팔이 둘일 경우 좌우손은 시무외인(施無畏印 : 다섯 손가락을 가지런히 펴서 손가락을 바깥으로 하여 어깨 높이까지 올린 모습)에 정병(淨甁)을 든다. 그리고 4개인 경우 석장(錫杖 : 중이 짚고 다니는 지팡이)과 염주, 연꽃과 병을 들게 된다.

우리나라에는 십일면관음보살상이 드문 편이나 신라의 십일면관음상으로서 경주 토함산 석굴(吐含山石窟)의 십일면관음보살상과 국립경주박물관에 옮겨 놓은 판석 부조(浮彫 : 돋을새김) 십일면관음보살상이 대표적이다.

토함산 석굴상은 판석에 부조로 새긴 것이다. 왼손은 시무외인, 오른손은 연꽃을 꽂은 정병을 잡고 있다. 이 관음상은 부드러운 부피감, 유연한 곡선, 화려한 장신구, 세련되고 사실적인 형태미를 나타내고 있어서 가장 아름다운 보살상으로 평가된다.

경주박물관상은 세련미에 있어서는 다소 떨어지지만 등신대(等身大)의 큼직한 보살상으로 토함산 석굴상과 함께 신라 사람들의 마음을 강렬하게 이끌었던 보살상이다. 신라시대의 십일면관음상들의 조상 경향을 짐작할 수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