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계사 팔상전 팔상탱 ( ▽)

목차
관련 정보
하동 쌍계사 팔상전 팔상탱
하동 쌍계사 팔상전 팔상탱
회화
유물
문화재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 팔상전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
목차
정의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 팔상전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
개설

200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종이 바탕에 채색. 세로 179.5㎝, 가로 164㎝. 1728년(영조 4)에 제작된 8폭의 팔상탱화는 석가모니의 일생을 여덟 단계로 나누어 그린 불화이다. 이 팔상도는 화면이 꽤 큰 편으로, 상당히 복잡한 구도를 보여주고 있는 작품이다.

내용

1725년에 제작된 송광사 팔상도처럼 「도솔내의상(兜率來儀相)」에는 구름 위의 월륜(月輪) 가운데 육아백상(六牙白象)을 탄 보살상과 그를 둘러싼 보살중·천중(天衆)의 도상이 화폭의 3분의 2를 차지하고 있고 「사문유관상(四門遊觀相)」의 구도나 표현된 내용 등과도 흡사하다. 그러나 이 그림에서는 인물들을 작게 묘사하고 구름과 산, 그리고 나무들을 빈 공간에 배치하여 그렇게 번잡스럽게 보이지는 않는다. 즉 인물들은 비록 작지만 모두 개성 있는 표정, 분명한 형태 등으로 비교적 아름다운 화면을 구성하고 있다.

「설산수도상(雪山修道相)」의 경우 산과 나무, 강물과 구름들이 각 장면을 적당히 구획하였고 이런 배경 아래 작은 인물들이 비교적 제자리를 차지하며 조화를 이루고 있다. 더구나 밝으면서도 선명한 채색으로 장엄하게 부처의 일생을 표현한 점은 이 불화의 특징이기도 하다.

운흥사의 팔상도(1719)와 함께 이 지역의 대표작이자 우리 나라 팔상도 가운데에서도 격조높은 수준작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미』16-조선불화-(문명대 감수, 중앙일보사, 1984)
『한국의 불화』(문명대, 열화당, 1977)
「이조불화의 연구」(김영주, 『고문화』9, 한국대학박물관협회, 197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