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계사 팔상전 영산회상도 ( )

목차
관련 정보
하동 쌍계사 팔상전 영산회상도
하동 쌍계사 팔상전 영산회상도
회화
유물
국가유산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 팔상전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쌍계사 팔상전 영산회상도(雙磎寺 八相殿 靈山會相圖)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불도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87년 07월 16일 지정)
소재지
경남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길 59, 쌍계사 (운수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쌍계사 팔상전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
개설

1987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403㎝, 가로 275㎝. 1688년(숙종 14)에 제작되었다. 팔상전의 후불탱화로 봉안되어 있는 이 불화는 비교적 큰 편에 속하지만, 화면을 압도하는 중앙의 본존불과 비교적 굵직하게 묘사된 협시보살상들 때문에 협시들의 수가 줄어들었다. 즉, 4천왕·4보살·6제자·4분신불(分身佛)과 타방불(他方佛)·4구의 팔부중(八部衆)·이청문중(二聽聞衆) 등이 본존불 좌우에 2열 종대로 배치되어 비교적 단순한 구도를 보여준다.

내용

화면의 중앙에서 상단부에 걸쳐 꽉 차게 묘사된 본존불은 건장하고 풍만한 모습을 과시하고 있는 원만상(圓滿相)으로, 조선 후기 불화로는 드물게 보이는 특징이다. 육계(肉髻)는 뾰족하고 계주(髻珠)는 큼직한 것으로 청주 보살사 괘불(掛佛, 1649년)이나 화엄사 괘불(1653년)의 본존불과 흡사하다.

얼굴은 둥글고 풍만한 데다 눈·코·귀·입 등이 작고 부드러워 원만상을 이루고 있다. 우견편단(右肩偏袒)으로 벗은 상체 역시 둥근 곡선으로 처리되어 풍만함을 자랑하고 있으며, 당당한 체구의 형태가 잘 묘사되어 있다.

본존불의 풍만한 형태는 보살이나 기타 협시상들에서도 그대로 표현되어 전체 불보살들이 환하고 원만한 모습을 보여준다.

색채는 이러한 형태에 알맞게 밝으면서도 부드러운 중간 색조를 사용하였으며, 본존의 옷깃이나 옷무늬 등 역시 17세기 중엽경의 특징을 고스란히 갖추고 있어서 17세기 후반기의 불화임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미』16 조선불화(문명대 감수, 중앙일보사, 1984)
『한국의 불화』(문명대, 열화당, 197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