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사의리 고분군 ( )

목차
선사문화
유적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에 있는 삼국시대 돌덧널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목차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에 있는 삼국시대 돌덧널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내용

고분이 분포된 곳은 동남향으로 앉은 마을의 뒷산 완만한 경사면으로 산의 높이는 표고 약 200m이며, 고분이 있는 곳은 표고 약 135∼140m 정도이다.

유적은 임하댐 수몰지구 유적조사의 일환으로 1987년안동대학박물관에 의해 발굴되었다. 모두 23기의 고분 중 조선시대 민묘가 2기, 삼국시대 옹관묘가 1기이며, 나머지는 5세기 전후의 석곽분들이다. 대부분이 도굴되어 겨우 유구의 흔적만을 남기고 있는 정도이다.

석곽들은 대부분 길이의 방향을 동북-서남 또는 동-서로 두어 대체로 산의 등고선방향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석곽은 벽석으로 40∼50㎝ 가량의 큰 강돌을 돌려 세우고 바닥은 10㎝ 내외의 둥글납작한 자갈돌을 깔았다.

벽석은 서 너 층으로 쌓아 깊이가 약 1m 이상 되는 것과 한 두 층만 쌓아 깊이가 30㎝ 내외의 것이 있었다. 전자는 석곽의 너비가 1m를 훨씬 넘는데 비해, 후자는 50㎝ 내외밖에 되지 않는다.

또 석곽들은 개석(蓋石)을 사용한 것이 하나도 없으며 석곽 내부에 진흙을 채우고 위에 길이 20㎝ 내외의 강돌을 덮은 뒤 다시 흙을 덮었다. 현재 봉토는 뚜렷하게 남아 있지 않다.

석곽에서 출토된 유물은 주로 장경호(長頸壺)ㆍ고배(高杯) 등의 토기류들이며, 방추차(紡錘車)ㆍ철도자(鐵刀子)ㆍ철촉(鐵鏃) 등이 함께 출토되었다. 또한 비교적 유물의 잔존상태가 좋은 유구에서 금동제귀걸이가 출토되기도 하였다. 토기류들은 대체로 경주 등지의 경상북도 남부지역의 것과 비슷한 형태로서 5세기를 전후한 시기의 것으로 추정된다.

옹관은 적갈색 연질토기의 합구옹관(合口甕棺)으로 전체 길이가 1m를 약간 넘는다. 옹관의 연대는 대체로 석곽분들과 비슷한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임하댐수몰지역문화유적발굴조사보고서(臨河댐水沒地域文化遺蹟發掘調査報告書)』Ⅰ(안동대학박물관, 1989)
집필자
임세권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