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서삼동 벽화 고분 ( )

목차
관련 정보
안동 서삼리 고려벽화고분
안동 서삼리 고려벽화고분
선사문화
유적
경상북도 안동시 녹전면에 있는 고려시대 사신도 · 성신도 관련 벽화무덤. 석실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녹전면에 있는 고려시대 사신도 · 성신도 관련 벽화무덤. 석실분.
개설

돌방무덤으로 돌방의 네 벽과 천장에 채색 벽화가 그려져 있다.

내용

고분의 외형은 지표면에 지대석(支臺石)을 동서 290㎝, 남북 410㎝의 장방형으로 돌리고, 그 위에 50∼60㎝의 봉토를 올린 방형봉토분(方形封土墳)의 형태이다. 봉분은 남쪽을 제외한 3면이 돌담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지표면에 얇고 넓적한 지대석을 깔고 그 내선(內線)에서 2∼3㎝ 가량 물러나 높이 약 60㎝ 가량 쌓여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돌방은 남북방향으로서 내부의 규모는 길이 229㎝, 너비 96㎝, 높이 90㎝이다. 네 벽과 천장은 각각 1장씩의 큰 화강암을 이용했으며 안쪽에 회칠을 하고 그 위에 벽화를 그렸다.

동서남북벽에는 각각 청룡(靑龍) · 백호(白虎) · 주작(朱雀) · 현무(玄武) 등의 사신(四神)이, 그리고 천장에는 중앙에 사보(四輔)와 천극(天極)을 나타내는 9개의 별과 그 주위에 이십팔수(二十八宿)를 나타내는 170여 개의 별이 초록 바탕에 붉은 점으로 그려져 있다. 또한 28수의 남쪽과 북쪽에는 흰색의 구름무늬( 운문)가 있다.

사신도(四神圖)의 특징으로는 주작과 현무가 정면을 향해 있는 점을 들 수 있는데, 특히 현무는 등 위에 삼각형 형태의 산과 같은 물체를 싣고 있는 점이 주목된다. 한편, 백호는 거의 다 지워져 형태를 알 수 없게 되었으나 백호의 앞쪽, 즉 입구쪽으로 큰 병을 껴안고 있는 인물상이 그려져 있어 특이하다.

이 밖에 고분구조의 특징으로 제사유구(祭祀遺構)를 들 수 있다. 유구는 모두 2개로서 하나는 봉토 위 남쪽 지표 밑, 또 하나는 북쪽 돌담의 윗부분 돌틈에서 발견되었다.

앞의 것은 지표 하 35㎝ 지점에 지름 50㎝, 깊이 13㎝의 구덩이를 파고 개 1마리를 불에 태워 뼈를 묻은 것이고, 뒤의 것은 돌담 윗부분 돌틈에 토기 1점을 끼워 넣은 것이다. 이것들은 분묘의 축조를 마친 뒤 지낸 평토제(平土祭)에 의해 남겨진 것으로서 주술적 성격이 매우 강한 것으로 추정된다.

유물은 도굴에 의해 거의 없어졌으며 동전 16점 외에 관못 · 관고리 · 꺽쇠 · 철제손칼(철 도자) · 철판조각 · 헝겊에 싸인 쇠조각 등이 돌방 내부에서 발견되었다. 외부의 경우는 북쪽 돌담에서 앞서 말한 토기 1점이 발견되었을 뿐이다.

동전은 동국중보(東國重寶) · 동국통보(東國通寶) · 해동통보(海東通寶) 등의 고려 화폐와 천성원보(天聖元寶) · 황송통보(皇宋通寶) · 원우통보(元祐通寶) 등의 송나라 화폐들이 대부분이다.

이 고분은 12세기 초에 축조된 것으로 여러 면에서 고구려 고분 전통을 그대로 지니고 있음을 볼 수 있는데, 사신도와 천장의 별자리그림, 그리고 방형의 봉토가 대표적인 것이다.

특히, 별자리그림은 평안남도 대동군 덕화리 2호분( 대동 덕화리 2호분) 천장의 28수도(宿圖)와 일본 아스카현[飛鳥縣] 아스카촌[明日香村]의 다카마쓰총[高松塚]고분의 별자리그림의 전통을 이어받은 대표적인 것으로서 별의 개수까지 정확하게 묘사되어 있는 점에서 한국에서 발견된 28수 그림 중 가장 완전한 형태이다.

참고문헌

『안동서삼동벽화고분』(임세권, 안동대학박물관, 1981)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임세권(안동대학교, 고고학)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