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하회마을 ( 마을)

주생활
유적
문화재
고려 말, 풍산류씨가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에 조성한 씨족 마을.
이칭
약칭
하회 마을
유적
건립 시기
고려 말
관련 국가
고려|조선
관련 인물
류운용|류성룡
면적
1,577필지/6,495,535㎡
소재지
경상북도 안동시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국가민속문화재(1984년 1월 10일 지정)
소재지
경상북도 안동시
내용 요약

안동 하회마을은 고려 말 풍산류씨가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에 조성한 씨족 마을이다. 고려 말 전서공 류종혜가 입향 이후 임암 류중영과 두 아들 겸암 류운룡, 서애 류성룡에 이르러 번성하게 되었다. 사면이 경사진 곳에 마을 길과 가옥의 자리를 조성했는데, 마을 입구에서 양진당, 충효당으로 통하는 중심 안길에서 사방으로 뻗어 있으며, 마을은 중심 안길을 경계로 북촌 지역과 남촌 지역으로 나뉜다. 이 마을은 주생활 공간, 의식 공간, 생산 활동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민속 신앙 관련 시설이 잘 보존, 전승되고 있다.

정의
고려 말, 풍산류씨가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에 조성한 씨족 마을.
건립 경위

하회 마을은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에서 풍산류씨(豐山柳氏)가 터를 잡고 살아 온 씨족 마을이다. 하회 마을은 풍산류씨가 터를 잡기 전 허씨(許氏)와 안씨(安氏) 등이 살아왔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기록에 따르면 1635년(인조 13)에는 류씨(柳氏)가 가장 많이 살았다고 한다. 하회 마을의 풍산류씨는 고려 말 8세 전서공(典書公) 류종혜(柳從惠)가 터를 잡으면서 시작되었으며, 이후 입암(立巖) 류중영(柳仲郢, 1515~1573)과 두 아들 겸암(謙菴) 류운룡(柳雲龍, 1539~1601)과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 1542~1607)에 이르러 마을이 대외적으로 번성하게 되었다. 류운룡은 풍산류씨 14세손이며, 류성룡은 류운룡의 동생으로 주6인데, 이후 하회 마을의 후손들은 크게 안동 하회 양진당(養眞堂)을 중심으로 한 겸암파(謙菴派)와 안동 하회 충효당(忠孝堂)을 중심으로 한 서애파(西厓派) 풍산류씨로 나뉜다.

변천

하회 마을은 풍산류씨 민속 마을로 1984년 1월 10일 국가민속문화재가 되었다. 마을에는 문화재로 지정된 양진당과 충효당, 안동 하회마을 화경당 고택, 안동 하회마을 원지정사(遠志精舍), 안동 하회마을 빈연정사(賓淵精舍), 안동 하회마을 작천고택(鵲泉古宅), 안동 하회마을 옥연정사(玉淵精舍), 안동 하회마을 겸암정사(謙菴精舍), 안동 하회마을 염행당 고택, 안동 하회마을 양오당고택 등이 있고, 지정 주7 외에 주8 구조의 민가 같은 것이 있다. 그리고 마을에는 민속 주10와 관련있는 하회 선유 주36와 하회 주9이 행해지고 있는데, 하회 주35에 쓰였던 안동 하회탈 및 병산탈은 고려시대 것으로 추정되어 국보로 지정되어 있고, 1984년 하회탈 주11이 신축되었다. 하회 마을은 역사 문화 주12을 고려하여 1980년대 후반부터 전화 및 전기, 소방 시설 주1 사업을 시행하였고, 1919년 개교한 풍남국민학교를 1991년에 폐교시킨 후 1999년에 철거하였다. 하회마을은 2010년 8월 1일 경주 양동마을과 함께 세계 주13으로 지정되어 국내외적으로 널리 알려졌다. 하회 마을의 주14인 화산이 마을의 동쪽의 농경지 너머에 있으므로 하회 마을의 토지 이용은 일반적인 전통 마을과 달리 농경지가 화산과 마을을 연결하고 있다.1981년 강변 주15 공사와, 그 이후에 실시한 농지 주16로 마을의 경관이 바뀌었다.

형태와 특징

안동 하회마을은 마을의 주산인 화산 자락을 화천이 휘돌아 나가면서 생성된 지형에서 마을 이름 ‘하회(河回)’가 유래하였다. 하회 마을의 형국은 주변의 산과 화천이 감싸 도는 형태가 태극과 같다 하여 ‘산태극수태극(山太極水太極)’이라 하며, 또는 마을이 물 위에 뜬 연꽃과 같다 하여 ‘연화부수형(蓮花浮水形)’, 배가 물을 가르고 나는 형국이라 ‘행주형(行舟形)’이라고도 한다. 하회 마을은 동쪽을 제외한 남쪽, 북쪽, 서쪽 면이 화천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화천은 물의 흐름에 따라 백사장이 펼쳐져 있고, 화천을 따라 부용대(芙蓉臺), 원지산(遠志山), 남산, 병산(屛山) 등의 산줄기가 겹겹이 마을을 둘러싸고 있는데, 부용대는 마을 북쪽에 있으면서 독특한 경관을 이루고 있다. 과거에 이 마을에 살았던 사람들은 주변의 자연과 건축물이 만들어 내는 경관 등을 보고 ‘하회 16경(河回十六景)’, ‘옥연 10경(玉淵十景)’, ‘병산 10절(屛山十節)’ 등을 지었다. ‘하회 16경’은 하회 마을 주변의 산수와 풍경의 아름다움을 보고 지은 시(詩)인데, 서애의 맏손자인 류원지(柳元之, 1598~1674)의 『졸재집(拙齋集)』에 수록되어 있다. 이후 이런 경관을 보고 여러 주18주17을 남겼다.

하회 마을의 지형은 하회 마을을 향한 주19이 화산에서 서쪽을 향한 산 능선을 따라 흐르며, 첫 능선 위에는 주20이 있고, 또 다른 남쪽 능선 끝자락에 주21이 있다. 그리고 마을의 지맥은 하당으로 지맥이 흐르는 남쪽 능선을 따라 흐른 후 농경지를 거쳐 마을 속으로 흐른다. 마을을 향한 지맥은 화산 끝자락에서 서쪽으로 가면서 낮아지다가 농경지를 지나 가옥이 있는 곳에 이르러서 다시 높아진다. 이 지맥은 마을을 지나면서 마을의 독특한 지형을 만들었다. 마을 사람들은 지맥의 주변에 주22주23, 그리고 마을 길 등을 조성하였다. 즉, 하회 마을은 화산-농경지-주거지-화천 축 위에 마을 길과 가옥 등이 자리하고 있다.

마을의 고택들은 볼록한 중앙의 높은 곳에 터를 잡았기 때문에 경사 지형을 이용하여 각기 방향을 달리하면서 서로 다른 안대(案對)를 취하도록 하였다. 마을은 북서측 지형이 다른 곳보다 낮아 서북쪽의 화천 백사장에 만송정(萬松亭)이라고 불리는 소나무 주2을 조성하였다. 만송정은 1만 그루가 소나무로 이루어진 소나무 숲을 말한다. 만송정은 류운룡이 원지산에서 부용대로 이어지는 경관과 마을 서측의, 허(虛)한 것에 대한 주3 숲이면서 홍수 때 수해(水害)를 막아 주고 세찬 서북풍을 막는 방풍림이다. 또한 만송정은 마을과 부용대 사이에 위치하여 부용대의 깎아지른 듯한 암벽을 시각적으로 차단하여 완충 공간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안동 하회마을은 기본적으로 주생활 공간인 주24 및 가옥, 의식 공간인 상 · 중 · 하당, 주변의 자연 경관인 화산, 화천(낙동강), 만송정, 부용대, 생산 활동 공간, 농경지로 구성되어 있다. 하회 마을의 주된 생활 공간은 마을의 진입 축과 지형의 축과 다르며, 북동쪽에서 진입하고 북동쪽에서 서남쪽으로 난 중심 주25에 의하여 북촌 지역과 남촌 지역으로 나뉜다. 중심 안길은 북촌 지역과 남촌 지역의 또 다른 안길 및 샛길과 연결되어 있다. 마을의 중심 안길 주변에는 초입부터 하회 보건소, 안동 하회마을 하동고택(河東古宅)안동 번남고택(樊南古宅), 상계종택(上溪宗宅), 귀촌종택(龜村宗宅), 양진당, 충효당, 안동 하회마을 작천고택 등이 있다. 남촌 지역에는 마을의 중심 안길에서 남측으로 난 안길 주변에 양오당, 염행당 등이 있고, 북촌 지역에는 북측으로 난 안길 주변에 화경당 및 삼신당 등이 있다. 이 건물은 지맥의 흐름으로 형성된 나지막한 능선으로 생긴 경사면에 터를 잡고 방향을 달리하였다. 마을의 주26는 ㅁ자 평면으로 영남 지방 주27의 특징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평면은 산지로 둘러싸여 연중 기온차가 심한 대륙성 기후로 인한 것과, 주4 사대부(士大夫)들의 계층적 우위성을 나타내기 위한 요구가 반영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서민의 초가는 유교 의례 같은 인문적 요인의 영향보다 생활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기후나 지형 등의 자연적 요인에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 하회 마을의 초가는 홑집형 초가보다 두 줄로 실이 배치된 겹집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하회 마을의 여칸집(까치구멍 주28)은 정면 세 칸, 측면 두 칸 규모의 여섯 칸 집으로 한 채의 건물 안에 안방, 건넌방, 마루, 부엌 등이 집약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마을의 의식 공간은 풍산류씨의 가치관과 자연관, 의식 세계를 엿볼 수 있는 누정(樓亭) 공간과 서원(書院) 공간, 민속 주31 공간으로 나뉜다. 누정 건축과 서원 건축은 주변 지형이 만들어 낸 자연 경관을 이용하여 독특한 건축 공간을 구현하였다. 하회 마을의 누정은 겸암정사, 빈연정사, 원지정사, 옥연정사가 있으며, 서원은 화천서원(花川書院)과 병산서원(屛山書院)이 있다. 이들 공간은 주변을 감싸고 있고 산과 화천, 그리고 강변 만송정과 마을의 건물, 멀리 화산이 만들어낸 외부의 경관을 받아들이게 되어 있다. 마을의 민속 관련 동제(洞祭)는 매년 정월 주32과 4월 주33에 행하는데, 정월 대보름 밤 상당(上堂)과 중당(中堂)에서 동제를 지내고, 다음 날 아침 삼신당에 제(祭)를 올린다. 상당은 ‘서낭당 김씨 할매’라고도 부르는데, 하회의 주34로서 하회 별신굿의 신앙 대상이기도 하다. 서낭당이 온전하게 남아 있고, 수백 년 전의 제의적 전통에 따라 동제가 이루어지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중당은 주37으로 서낭당에 오르는 화산 기슭 오른편에 있다. 삼신당은 마을 한가운데에 있는 주38이 600년 이상 된 느티나무이다. 상당(서낭당)은 1칸 규모로, 화산에서 마을로 흐르는 산 능선 위에 있으며, 중당도 단칸 규모로, 화산의 산자락과 농경지가 만나는 곳에 있다. 하회 마을의 생산 활동 공간인 농경지는 마을 내 부또는 인근에 있는데, 하회 마을의 토지 이용은 일반적인 전통 마을과 달리 농경지가 마을의 주산인 화산과 마을 사이에 있다. 마을 동측의 농경지는 농지 정리를 하여 바둑판 모양을 하고 있는데, 현재 농경지는 단순히 마을의 먹거리를 제공하는 농경지일 뿐만 아니라 마을의 경관을 꾸미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의의 및 평가

안동 하회마을은 고려 말 전서 류종혜가 터를 잡으면서 풍산류씨의 씨족 마을로 시작되었고, 훌륭한 여러 인물을 배출하여 번창하였다. 이 마을은 화산 끝자락의 지맥이 서쪽 화천으로 흐르는 지맥 위에, 화천이 마을의 삼면을 감싸 흐르는 곳에 터를 잡아 마을의 차별화된 자연 경관을 갖고 있다. 마을은 주생활 공간 및 의식 공간, 생산 활동 공간이 잘 보존 · 유지 · 관리되어 건축사적으로 학술적 가치가 높으며, 민속 문화에 관련 공간 및 무형적 요소가 잘 보존 · 전승되고 있어 인문학적 가치가 높다. 따라서 하회마을은 조선시대 유교 사회의 특징적인 주39 형식인 씨족 마을이자 가장 완전하고 대표적인 마을로서 유교적 가치관, 자연과 건축의 관계 및 상호 작용을 예술뿐만 아니라 기술적으로도 탁월하게 반영하여 한국의 전통 문화를 잘 보여 주고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이상해, 『전통 역사 마을 하회』(문화재청, 2010)
문화재청, 『세계문화유산 등재 보고서』(2009)
안동시, 『안동 하회마을 종합정비계획 보완 용역』(2017)
안동시, 『안동 하회마을 조사 보고서』(2001)

인터넷 자료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https://www.heritage.go.kr)
주석
주1

땅속에 묻거나 설치함. 우리말샘

주2

바람을 막기 위하여 가꾼 숲. 우리말샘

주3

도와서 모자라는 것을 채움. 우리말샘

주4

시골로 거처를 옮기거나 이사하다. 우리말샘

주6

종파에서 갈라져 나간 파의 자손. 우리말샘

주7

우리나라의 역사, 예술, 학술 방면에서 가치가 큰 것으로 지정된 문화재. 문화재 보호법에 따라 정하여지며 유형 문화재, 무형 문화재, 민속자료, 기념물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8

토담만 쌓아 그 위에 지붕을 덮어 지은 집. 우리말샘

주9

경상북도 안동시 하회 마을에 전승되어 오는 탈놀이. 음력 정초에 서낭제를 지내면서 행하던 것으로, 파계승과 양반을 풍자하고 서민의 궁핍상을 보여 주는 따위의 내용을 담은 8개의 마당으로 구성된다. 우리나라 국가 무형 문화재로, 국가 무형 문화재 정식 명칭은 ‘하회 별신굿 탈놀이’이다. 우리말샘

주10

민간 생활과 결부된 신앙, 습관, 풍속, 전설, 기술 따위처럼 민간에 전하여 내려오는 문화. 우리말샘

주11

기술이나 지식 따위를 전하여 받기 위해 마련한 건물. 우리말샘

주12

과거 인류가 남긴 문화유산 가운데 역사적ㆍ문화적으로 보존할 가치가 있는 유적지 주변의 경관. 우리말샘

주13

세계 유산 협약에 따라 유네스코에서 인류 전체를 위하여 보호해야 할 보편적 가치가 있다고 인정한 문화유산. 우리말샘

주14

풍수지리에서, 묏자리나 집터 따위의 운수 기운이 매였다는 산. 우리말샘

주15

물가에 흙이나 돌, 콘크리트 따위로 쌓은 둑. 홍수나 해일에 물이 넘어 들어오지 못하게 하거나 물을 막아 고이게 한다. 우리말샘

주16

농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수확을 늘리기 위하여 농지를 반듯하고 널찍하게 고치고, 배수와 관개에 따른 모든 설비를 개량하는 일. 우리말샘

주17

시가와 산문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8

문필에 종사하는 사람. 우리말샘

주19

풍수지리에서, 땅속의 정기가 순환한다는 줄. 우리말샘

주20

하회 별신굿에서, 본놀이를 시작하기 전에 제주(祭主)와 무당, 광대들이 모여 음식을 차려 놓고 서낭대와 성줏대를 세워 신이 내리기를 비는 굿. 우리말샘

주21

경상북도 안동시 하회 마을에 있는 신당(神堂)의 하나. 하회 별신굿 탈놀이에서, 본 놀이를 시작하기 전에 신이 내린 서낭대와 성줏대를 받들고 이곳을 다녀간다. 우리말샘

주22

옛날에 지은, 오래된 집. 우리말샘

주23

하회 별신굿 놀이에서, 마을에 이르기 전에 거쳐 가는 곳의 하나. 우리말샘

주24

종가가 대대로 사용하는 집. 우리말샘

주25

안쪽으로 난 길. 흔히 동네 안쪽으로 이어져 동네 안의 구역을 연결하는 길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26

양반의 집안. 우리말샘

주27

지붕을 기와로 인 집. 우리말샘

주28

추위와 산짐승의 공격을 막기 위해 방을 두 겹 또는 세 겹으로 이어 붙이고, 채광이나 환기를 위해 벽면에 구멍을 뚫은 집. 강원도와 경상북도 북부 산간 지방에 분포하는 서민 가옥이다. 우리말샘

주31

민간에 전해 내려오는 신앙. 우리말샘

주32

음력 정월 보름날을 명절로 이르는 말. 새벽에 귀밝이술을 마시고 부럼을 깨물며 약밥, 오곡밥 따위를 먹는다. 우리말샘

주33

우리나라 명절의 하나. 음력 4월 8일로 석가모니의 탄생일이다. 이날에는 파일등을 단다. 8일 및 9일의 이틀 밤에는 집집마다 여러 가지 모양의 등에 불을 켜 달고 그 아래서 물장구를 치거나 풍악을 하고, 딱총과 불놀이를 하며 느티나무의 잎을 넣어 만든 시루떡과 검정콩을 쪄서 먹는다. 우리말샘

주34

집터를 지키는 지신(地神). 또는 그 자리. 가마니 같은 것 안에 베 석 자와 짚신 따위를 넣어서 달아 두고 위한다. 우리말샘

주35

경상북도 안동시 하회 마을에 전승되어 오는 탈놀이. 음력 정초에 서낭제를 지내면서 행하던 것으로, 파계승과 양반을 풍자하고 서민의 궁핍상을 보여 주는 따위의 내용을 담은 8개의 마당으로 구성된다. 우리나라 국가 무형 문화재로, 국가 무형 문화재 정식 명칭은 ‘하회 별신굿 탈놀이’이다. 우리말샘

주36

경상북도 안동 풍천면 하회리에서 음력 7월 기망旣望(16일)에 즐기던 양반들의 전통놀이. 바로가기

주37

서낭신을 모신 집. 우리말샘

주38

나무의 나이. 우리말샘

주39

일정한 곳에 자리를 잡고 삶. 우리말샘

집필자
정연상(안동대학교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