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중사 ()

목차
관련 정보
야중사
야중사
불교
유적
일본 오사카부[大阪府] 하비키노시[羽曳野市] 노노우에[野野上]에 있는 나라시대 백제계 이주민이 창건한 사찰.
목차
정의
일본 오사카부[大阪府] 하비키노시[羽曳野市] 노노우에[野野上]에 있는 나라시대 백제계 이주민이 창건한 사찰.
내용

소속 종파는 고야산(高野山)의 진언종(眞言宗)이다. 사호(寺號)는 청룡산(靑龍山) 덕련원(德蓮院)이며, 본존불은 약사여래불이다. 창건된 시기는 분명하지 않으나 나라시대[奈良時代]초기에 백제 계통의 이주민인 후나[船] 씨족이 자신들의 신앙을 위하여 세운 일종의 씨족사찰이라고 한다. 후나 씨족은 백제 16대 진사왕(辰斯王)의 아들인 진손(辰孫)의 후손으로 일컬어지고 있는 고대 씨족이다.

이 사찰에 관한 문헌의 기록을 살펴보면, 799년 3월에 스가노[菅野眞道]가 이 절의 남쪽 산을 후지이[葛井]·후나[船]·쓰[津]라는 세 씨족의 묘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조정에 요청하는 기록을 『일본후기(日本後紀)』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세 씨족은 모두 공통의 시조를 가지고 있는 백제 계통의 이주민들이다.

그리고 822년경에 성립된 『일본영이기(日本靈異記)』에는 단지히(丹治比)라는 경사(經師)가 이 절에서 『법화경』을 서사(書寫)하고 있던 중, 비를 피하여 들어온 여자와 간음하다 불교 수호신의 벌을 받아 두 사람 모두 죽음을 당하는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다. 같은 내용의 설화가 11세기 초의 불교설화집인 『금석물어집(今昔物語集)』에도 실려 있다.

그 뒤 중세에 이르러 이 절에 관한 기록은 그다지 많지 않으나, 『안화전치씨군충장안(岸和田治氏軍忠狀案)』에 의하면 1337년 3월 2일부터 10일까지 이 사찰 부근에서 전쟁이 일어났으며, 이 전란으로 말미암아 사찰의 건물들이 모두 소실되었다. 그 뒤 1600여 년경에 정현(政賢)이 서대사(西大寺)의 승려인 자인(慈忍)을 초빙하여 계율도량(戒律道場)으로 다시 재건하였다.

이때 이 절의 이름을 권학원(勸學院)이라 하였으며, 주로 율종(律宗)을 고취시키는 데 주력하였다. 특히, 그때 그 지역의 유력자인 다카기(高木)·호조(北條)·야나기자와(柳澤)라는 세 집안을 이 절의 신자로 귀의시킴으로써 경제적인 안정을 이루게 되었다.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경내의 방장(方丈)과 객전(客殿)은 야나기자와 씨족으로부터 기증받은 것이다. 그리고 1746년에는 에도막부(江戶幕府)의 허가를 받아 여법율종윤번소(如法律宗輪蕃所)가 되었으며, 이로 말미암아 율종을 공부하는 비구료(比丘寮)·사미료(沙彌寮)라는 두 개의 승방을 건립하였다.

현존하는 당우(堂宇)로는 본당인 용호전(龍護殿)을 비롯하여 대사당(大師堂)·객전·식당(食堂)·지사료(知事寮)·고리(庫裏)·승방(僧房)·종루(鐘樓)·방장 등이 있다. 이들 대부분의 당우는 1720년대 전후에 세워진 것이다. 중요문화재로는 금동미륵보살반가상(金銅彌勒菩薩半跏像)과 지장보살입상(地藏菩薩立像)이 국가지정중요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승방과 객전·식당은 대판부 지정문화재로 되어 있다.

또한, 경내에 서 있는 산다화(山茶花)는 대판부의 지정천연기념물로 되어 있다. 한편, 옛 사적지에는 남대문(南大門)·중문(中門)·금당(金堂)의 유적지와 삼층탑의 초석이 현재까지 남아 있으며, 국가지정사적지로 보존되고 있다.

참고문헌

『일본후기(日本後紀)』
『일본령이기(日本靈異記)』
『금석물어집(今昔物語集)』
『日本史に生きた渡來人たち』(段熙麟, 松籍社, 1986)
『日本の中の朝鮮文化』(金達壽, 請論社, 1983)
『朝鮮と古代日本文化』(司馬遼太郞·上田正昭, 金達壽 編, 中央公論社, 1982)
『日本古代史と朝鮮文化』(金達壽, 筑摩書房, 1976)
『日本に殘る古代朝鮮』(段熙麟, 創元社, 1976)
『歸化人』(今井啓一, 綜芸舍, 1974)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노성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