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매허증신사 ()

민간신앙
유적
일본 오사카부[大阪府] 오사카시[大阪市] 히가시나리구[東成區]에 있는 한반도 계통의 신을 모시는 신사.
이칭
이칭
시타테루히메사[下照比賣命社], 닌도쿠제묘[仁德帝廟]
유적/건물
소재지
일본 오사카부 오사카시 히가시나리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비매허증신사는 일본 오사카부 오사카시 히가시나리구에 있는 한반도 계통의 신을 모시는 신사이다. 주신(主神)은 시타테루히메[下照比賣命] 또는 아카루히메[阿加流比賣]이며, 주신의 이름을 따서 시타테루히메사[下照比賣命社]라고도 한다. 고대 한반도(특히 신라)에서 일본 열도로 이주해 간 집단의 선조 설화를 간직한 곳으로 유서가 깊은 신사 가운데 하나이다.

목차
정의
일본 오사카부[大阪府] 오사카시[大阪市] 히가시나리구[東成區]에 있는 한반도 계통의 신을 모시는 신사.
연원 및 변천

927년에 성립된 『연희식(延喜式)』에서 명신대사(名神大社)로 나온 유서가 깊은 신사이다. 현재 모시고 있는 제신(祭神)으로는 하야스사노오노미코토[速素盞嗚命] · 아지스키타카히코네노미코토[味鉏高彦根命] · 오오바세노미코토[小小橋命] · 오오사자키노미코토[大鵻命] · 다치바나토요히노미코토[橘豊日命] · 시타테루히메노미코토[下照比賣命]이다. 주신은 시타테루히메노미코토이다. 주신의 이름을 따서 일명 시타테루히메사[下照比賣命社]라고도 한다. 그 뒤 닌도쿠왕[仁德王]을 함께 안치하여 닌도쿠제묘[仁德帝廟]라고 불리기도 한다.

일본 고대 문헌에는 이 신사의 창건과 관련하여 몇 가지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먼저 712년의 문헌인 『고사기(古事記)』 오진단[應神段]에는 신라의 아구소(阿具沼)라는 연못가에서 낮잠을 자던 여인이 햇빛을 받아 임신하여 붉은 구슬을 하나 낳았는데, 이 구슬이 사람으로 변하여 신라국의 왕자인 아메노히보코[天之日矛] · 천일창(天日槍)의 아내가 되었다. 하지만 아내는 거만한 남편을 뒤로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이 신사의 신인 아카루히메[阿加流比賣]가 되었다고 한다. 720년 편찬된 『일본서기(日本書紀)』 슈닌[垂仁] 2년 조에도 비슷한 내용의 설화가 나온다. 여기서는 의부가라국(意富加羅國, 대가야)의 왕자인 츠누가아라시토[都怒我阿羅斯等]가 소 값으로 신령스러운 흰 돌을 받았는데, 이 돌이 아름다운 연인으로 변하자 왕자는 아내로 삼고자 했다. 그러나 여인은 나니와[難波, 지금의 오사카지역]로 도망을 가서 이 신사의 신이 되었다고 한다.

이상의 설화에서 보듯이, 이 신사는 신라와 가야라는 차이는 있으나 한반도 계통의 신을 모시는 신사인 것이 분명하다. 이 신사의 이름인 ‘히메고소[比賣許曾]’라는 말 가운데 ‘고소’는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의 존칭인 거세(居世)에서 유래되었다고 하거나, 거서간(居西干)과 관련이 있다고 보기도 한다.

한편, 이 신사는 859년에 종5위하(從五位下)에서 종4위하(從四位下)로 위계가 승급되었다. 사전(社傳)에 의하면 이 신사는 원래 아쿠메야마[愛來目山]에서 시타테루히메를 모신 것이 시작이라 하는데, 그 뒤 전국시대에 전란을 피해 이 신사의 섭사(攝社)인 고즈텐노사[牛頭天王社]로 옮겨 오늘에 이르렀다고 한다. 메이지[明治] 초기에 촌사(村社)로 지정되었으며, 1928년에 사전(社殿)을 개축하였다.

현황

현재 주1는 오쿠니누시사[大國主社]와 시라타마이나리사[白玉稻荷社]라는 섭사의 사전이 남아 있다. 보물로는 「신사본연(神社本緣)」을 비롯하여 회화 · 고문서 · 공예 등을 많이 소장하고 있으며, 그 가운데는 고바야카와 다카카게[小早川隆景], 호소카와 하루모토[細川晴元], 미요시 요시오키[三好義興]라는 봉건 영주의 서찰도 함께 들어 있다.

제일(祭日)은 10월 16일이지만, 근세에는 1월 12일이었다. 「섭진명소도회대성(攝津名所圖會大成)」에 의하면, 제일에 신에게 여러 가지 색깔의 경단을 만들어 나무꼬치에 끼워 바쳤다고 한다. 흔히 이 경단을 히메코소경단이라 한다.

참고문헌

원전

『古事記』
『延喜式』
『日本書紀』

단행본

신종원 외, 『한국 신을 모시는 일본의 신사』 (2005)
『역주 일본서기』 1 (동북아역사재단, 2013)
今井啓一, 『歸化人』 (綜藝舍, 1974)
金達壽, 『日本の中の朝鮮文化』 (講談社, 1983)
段熙麟, 『日本の殘る古代朝鮮』 -近畿編- (創元社, 1976)
段熙麟, 『日本史に生きた渡來人たち』 (1986)
中村新太郎, 『日本の朝鮮と二千年』 (東邦出版, 1981)

논문

瀧川政次郎, 「比賣許曾の神について-日鮮交通史の一考察-」 (『國學院大學日本文化研究所紀要』 9, 1961)
熊谷保孝, 「比賣許曾神社と下照比賣神」 (『政治經濟史學』 599・600, 政治經濟史學會, 2016)
주석
주1

정당(正堂)과 옥우(屋宇)라는 뜻으로, 규모가 큰 집과 작은 집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박재용(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