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곡문집 ()

양곡문집
양곡문집
유교
문헌
조선 전기의 문신 · 학자, 소세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570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 학자, 소세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570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본래 1570년(선조 3)에 간행한 초간본이 있었다. 이 책은 1935년에 소세양의 후손 소진호(蘇鎭浩)·소학규(蘇學奎) 등이 초간본을 토대로 중간한 것이다. 본집은 권두에 홍석주(洪奭周)·박충원이 쓴 서문이 있고, 권말에 전우(田愚)와 후손 소수중(蘇洙中)·소학규 등이 쓴 발문이 있다.

속집은 1539년(중종 34) 중국에서 온 사신 화찰(華察)·설정총(薛廷寵) 등과 주고받은 시를 모은 시집인 『황화집(皇華集)』과 원접사(遠接使)가 되어 중국 사신을 맞이하면서 종사관 박충원(朴忠元)·오희맹(吳希孟)·홍춘경(洪春卿)·조사수(趙士秀) 등과 주고받은 시를 모은 시집인 『동사집(同槎集)』에서 저자가 지은 시와 부(賦)만을 골라 편집한 것으로 본집과 아울러 1935년에 간행되었다. 속집은 권두에 소학규가 쓴 서문, 권말에 후손 소주영(蘇周永)·소상영(蘇祥永)이 쓴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본집 16권 8책, 속집 4권 2책, 합 20권 10책. 목활자본. 국립중앙도서관·국사편찬위원회·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내용

본집 권1∼10에 시, 권11에 소장(疏狀) 3편, 신도비명 8편, 권12에 묘갈명 17편, 권13에 묘표 9편, 제문 2편, 서(序) 5편, 기(記) 9편, 권14에 발(跋) 6편, 잡저 3편, 보유 2편, 권15에 부록으로 신도비명, 비음후기(碑陰後記), 시장(諡狀), 청심당명(淸心堂銘), 청심당잠(淸心堂箴), 청심당서(淸心堂敍), 퇴휴당서(退休堂敍), 화설양사귀일봉국왕전하서(華薛兩使歸日奉國王殿下書), 권16에 연보 등이 수록되어 있다. 속권1·2에 『황화집』에 실렸던 시와 부가 수록되어 있고, 권3·4에 『동사집』에 실렸던 시가 실려 있다.

저자는 도로·산천·누각 등이나 자연을 보고 감회가 일면 곧 시로 표현하였다. 장편·단편 모두 법도를 갖추었고 관옥(冠玉)처럼 아름답고 깨끗한 얼음처럼 맑아서 성률(聲律)의 안에서 놀면서도 성률을 뛰어넘은 맛이 있다는 평을 받았다.

소장은 노모를 봉양하기 위해 사직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기 가운데 「병영중창기(兵營重創記)」는 전라남도 강진의 병영을 중건한 내력을 적은 글이다.

잡저 가운데 「부경일기(赴京日記)」는 1533년 11월부터 다음해 4월 28일까지 중국 황태자의 출생을 하례하기 위해 진하사(進賀使)로 연경(燕京)에 다녀오면서 쓴 일기다. 그간 보고들은 각 지방의 풍토와 고적 및 황태자 출생 하례식의 절차 등을 자세히 기록하였다. 이는 뒤에 『양곡부경일기(陽谷赴京日記)』 혹은 『양곡조천록(陽谷朝天錄)』의 명칭으로 책으로 편찬되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조선 전기 한문학과 중국과의 외교 관계를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