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종해 ()

유교
인물
조선 후기에, 『돈와유고』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원칙(元則)
돈와(遯窩)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44년(영조 20)
사망 연도
1815년(순조 15)
본관
남원(南原)
출생지
전라북도 순창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돈와유고』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원칙(元則), 호는 돈와(遯窩). 전북 순창(淳昌) 출생. 아버지는 양언(楊堰)이며, 어머니는 흥성장씨(興城張氏) 장형(張泂)의 딸이다. 양응수(楊應秀)와 유언집(兪彦鏶)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74년(영조 50) 진사가 되어 성균관에서 공부하였다. 그 뒤 벼슬에 진출할 뜻을 버리고 고향의 화산(華山) 밑에 돈와정사(遯窩精舍)를 짖고 후진 교육에 힘쓰면서 주자학을 깊이 연구하였다.

양종해는 1797년(정조 21) 어명으로 『주서백선(朱書百選)』을 편찬할 때 서유구(徐有榘)의 초빙을 받아 교정에 참여하였고, 또 정조가 경의(經義)를 물어오자, 조목별로 명석하게 대답하였다.

양종해의 성리학적인 학술은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에 있어서 심성(心性) · 이기(理氣)의 개념을 간결명료하게 분석하여 시로 표현하였는데, 인성과 물성이 태어날 때는 다 본연성을 지니고 있다고 보았다. 지극한 효성과 학식으로 1841년(헌종 7) 동몽교관(童蒙敎官)에 추증되었다. 저서로는 『돈와유고(遯窩遺稿)』 4권 2책이 있다.

참고문헌

『돈와유고(遯窩遺稿)』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