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책. 국문 필사본. 저자는 김성일(金誠一)의 9대 주사손(主祀孫: 제사를 주관하는 장손)이다.
이 책은 저자가 그의 딸을 가르치기 위하여 지은 것으로, 그는 딸이 12세 때에 장차 출가하여 알아야 하고, 또 지켜야 할 행동과 예의범절 등을 자세하게 적어 책으로 만들어 직접 딸에게 건네주었다. 딸은 그 뒤 선산군 해평면의 최운석(崔雲錫)에게 출가하였으나 젊어서 죽고, 오랫동안 이 책의 행방이 묘연하다가 최근에 발견되었다.
첫머리에 저술 동기가 쓰여 있고 끝 부분에 발문(跋文)이 있으며, 국문을 흘림체로 썼는데 드물게 보는 명필이다.
내용은 분장(分章)이 되어 있지 않은 줄글로 쓰여 있으나, 8개장으로 나눌 수가 있다. 여자초학·의성김씨세계·기일(忌日)·절일(節日)·복제(服制)·육갑(六甲)·수법(數法)·생일(生日)로 구성되어 있고, 그 가운데 ‘여자초학’은 22문단으로 분류할 수가 있다.
화순(和順)·신언(愼言)·부행(婦行)·음식(飮食)·의복·봉제사(奉祭祀)·접빈객(接賓客)·사구고(事舅姑)·사부(事夫)·태교(胎敎) 및 교자녀(敎子女)·출입·대인(對人)·어노복(御奴僕)·금투기(禁妬忌)·행신(行身)·여공(女工)·선린(善隣)·금무격(禁巫覡)·팔도풍물(八道風物)·역사·백관품계(百官品階)·과거절목(科擧節目) 등이 중심내용이다.
우리나라의 역사와 가족의 생일과 조상의 기일, 팔도의 풍물, 모든 벼슬의 품계, 과거절목 등은 다른 계녀서(誡女書)에서는 볼 수 없는 내용으로서 저자의 자상한 교육적 열의와 안목이 엿보인다.
여성을 일깨워주기 위한 ‘계녀서’는 조선조에 비빈(妃嬪)들에 의하여 간혹 저술되었고, 민간에서도 양반의 집안에서 많이 저술되었다. ‘계녀서’는 『소학』·『맹자』에서 발췌하거나 선현(先賢)의 언행록에서 인용하는 경우가 보통이다.
그러나 이 책은 오히려 저자의 생활주변에서 구체적인 예를 취하여 추상적·개념적 표현을 피하고 있다. 그러므로 내용에는 당시의 민중사고와 생활양식 및 풍속이 생생하게 표현되어 있어서 여성생활과 민속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현재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의 김시인(金時寅)이 소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