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행기사 ()

목차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후기 문신 이갑이 동지사의 부사로 청나라에 다녀온 후 1778년에 편찬한 견문록. 사행기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문신 이갑이 동지사의 부사로 청나라에 다녀온 후 1778년에 편찬한 견문록. 사행기록.
개설

5권 1책. 필사본. 1777년에 진하사은진주 겸 동지사(進賀謝恩陳奏兼冬至使)의 부사로 정사(正使) 이광(李珖), 서장관(書狀官) 이재학(李在學)과 함께 그 해 10월 27일부터 이듬해 3월까지 청나라에 다녀온 사행을 기록한 책이다.

내용

크게 「일기」·「문견잡기」·「시」로 이루어져 있다. 「일기」는 상·하 2권으로 되어 있는데 사행 일행의 동정, 지나는 곳의 정상, 역사적 내력, 사행 완수를 위한 각종 협의, 청나라 관원들과의 교섭 등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문견잡기」도 상·하 2권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모두 102건의 항목에 대하여 그 내용을 설명한 것으로 어느 사행록에서도 볼 수 없는 탁월한 내용이다.

권상은 1777년의 기사로 산천(山川)·토성(土性)·성첩(城堞)·공로(貢路)·궁궐·종친(宗親)·가사(家舍)·의복·관복·작농제(作農制)·팔기(八旗)·관아(官衙)·궁제(弓制)·거제(車制)·성묘(聖廟)·경학(經學)·과거(科擧)·한어(漢語)·의술(醫術)·배읍(拜揖)·상복(喪服)·장례(葬禮)·관례(冠禮)·호속(胡俗) 등이 실려 있다.

이어 제사(祭祀)·하의(賀儀)·의장(儀仗)·사찰(寺刹)·기명(器皿)·공장(工匠)·음식·재리(財利)·소채(蔬菜)·어구(漁具)·습속(習俗)·육아(育兒)·목재(木材)·고명(誥命)·어보(御寶)·문서(文書)·청정(聽政)·관제(官制)·관품(官品) 등이 수록되었다.

권하는 1778년의 기사로 풍속·견문사항·만한관계(滿漢關係)·명청관계(明淸關係)·이문(異聞)·유구(琉球)·안남(安南)·서번사사(西蕃四寺)·하번오사(河蕃五寺)·사천(四川)·금천사(金川寺)·무축(巫祝)·대번(待蕃)·초삼(貂蔘)·기율(紀律)·황계(皇系)·권신(權臣)·장등(張燈) 등이 기록되었다. 그리고 책 끝에는 사행하는 동안 지은 시를 첨부하였다.

원래 사본으로 내려오던 것을 1961년에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에서 『연행록선집(燕行錄選集)』하권에 수록해 영인, 출판하였다.

참고문헌

『국역연행록선집』Ⅵ(민족문화추진회, 197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