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통동구도 ()

목차
관련 정보
영통동구도/강세황
영통동구도/강세황
회화
작품
조선 후기의 화가 강세황(姜世晃)이 그린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畫).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화가 강세황(姜世晃)이 그린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畫).
내용

종이 바탕에 수묵 담채(水墨淡彩). 세로 32.8㎝, 가로 53.4㎝. 국립중앙박물관 소장(東垣寄贈品).

이 그림은 강세황이 송도(松都 : 지금의 開城) 지방의 명승고적을 여행하면서 사경(寫景)한 『송도기행첩(松都紀行帖)』 중의 한 점이다. 『송도기행첩』은 강세황의 회화 작품 가운데서도 가장 개성이 뚜렷한 그림들로 꾸며져 있다.

영통동은 개성 부근의 오관산(五冠山)에 소재한 명승이다. 선비 화가의 독자적인 풍경 포착과 참신한 격조를 함께 지닌 소략한 표현의 「영통동구도」는 영통동 입구에 거암들이 들어선 계곡을 그린 것이다. 우측 아래의 샛길에는 나귀 타고 탐승하는 자신과 뒤따르는 시동이 표현되어 있다.

대담하게 처리한 바위와 산의 경물(景物) 표현, 화흥(畫興)을 잘 살려낸 단순한 화면 구성, 청색·녹색·갈색·황색의 맑은 담채와 수묵의 필법 등은 설익은 듯하면서도 명랑하고 신선한 감각을 풍긴다. 더욱이 당시의 회화 경향에서는 느낄 수 없는 이채로운 묘법(描法)을 보여 준다.

특히, 바위의 선염법(渲染法)은 원근 개념을 부여한 미점(米點)의 산악 표현과 대조적으로 담채와 담먹을 묽게 혼용하여 입체감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전통적인 기법을 탈피한 혁신적인 화풍이다. 또한 『송도기행첩』의 다른 작품에서와 마찬가지로 원근법의 확실한 응용과 더불어서 서구적인 조형 해석(造形解析)도 찾아볼 수 있다.

그림의 좌측 윗부분에 쓴 기행문은 다음과 같다. “영통동 입구에 난립한 바위들은 어찌나 큰지 집채만하여 그 바위에는 푸른 이끼들이 끼어 있는데 눈을 깜짝 놀라게 한다. 전해 오기로는 못의 밑바닥에서 용이 나왔다고 하지만 믿을 만한 것은 못 된다. 이 넓은 장관은 정말 보기 드문 풍경이다(靈通洞口 亂石壯偉 大如屋子 蒼蘇覆之 乍見駭眠 俗傳龍起於湫底 未必信然 然環偉之觀 亦所稀有).”

참고문헌

『한국회화사(韓國繪畵史)』(안휘준, 일지사, 1980)
「조선후기문인화가의 진경산수화」(이태호, 『국보 10 -회화-』, 예경산업사, 1984)
「표암강세황(豹菴姜世晃)의 산수화연구(山水畵硏究)」(배정룡, 『고고미술』138·139, 한국미술사학회, 1980)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태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