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동도 ()

자연지리
지명
전라남도 여수시 수정동에 속하는 섬.
지명/자연지명
면적
0.13㎢
둘레
14㎞
소재지
전라남도 여수시 수정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오동도는 전라남도 여수시 수정동에 속하는 섬이다. 여수시 동쪽에 위치한 신항(新港) 부두에서 1㎞ 거리에 있으며, 오동나무가 많이 있어 오동도라 불리게 되었다. 해안 암벽에는 해식동과 풍화혈(風化穴)이 곳곳에 있다. 섬 주위 전체가 갯바위로 형성되어 있다. 섬 남쪽에는 오동도 등대가 있으며, 표지기지창(標識基地廠)이 있다. 오동도에 가기 위해서는 도선을 이용해야 하며 1일 14회 운행한다. 1996년부터 동백열차를 운행하고 있다. 2002년에는 관광 식물원 자리에 식물원을 철거하고 음악 분수대가 만들어졌다.

정의
전라남도 여수시 수정동에 속하는 섬.
개설

오동도(梧桐島)는 전라남도 여수시 동쪽에 위치한 신항(新港) 부두에서 1㎞ 거리에 있다. 동경 127°46′, 북위 34°44′에 위치하며, 면적은 0.13㎢, 해안선은 14㎞이다.

명칭 유래

오동도는 멀리서 보면 지형의 생김새가 오동잎처럼 보이고, 옛날에는 오동나무가 많이 있어 오동도라 불리게 되었다. 오동도 항로 표지 관리소 아래에는 주1의 기저부에 구멍이 뚫리면서 형성된 주2 모양의 동굴인 시아치(sea arch)가 있으며, 이를 코끼리 바위라 부른다.

자연환경

오동도는 완만한 경사의 주3 산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해안은 암석 주4으로 높은 해식애가 발달해 있다. 해안 암벽에는 주5주6이 곳곳에 있고, 섬 주위 전체가 주7로 형성되어 있다. 오동도는 남해안 도서 지역에서 자생하는 상록 난대성 수종인 동백, 신이대, 후백, 해송, 구실잣밤나무 등을 관찰할 수 있다. 특히 동백나무는 전국 최대 군락지로 3,000여 그루가 자라고 있다. 대표적인 지형으로는 주8의 침식 작용으로 형성된 해식 주9인 용굴이 있으며, 이곳에는 용에 대한 전설이 전해진다.

현황

1935년 일제강점기에 길이 768m, 너비 7m의 방파제가 3년에 걸쳐 완공되어 섬에 이르는 통로를 겸하고 있다. 오동도는 섬 전체가 동백나무와 식대 등 상록수로 덮여 울창한 숲을 이루고, 해안에는 기암 주10이 줄지어 있어 식물 경관은 물론 해안 경치도 아름다워 1968년 한려 해상국립공원의 일부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오동도가 수군 주11으로 사용되기도 하였으며, 여수의 특산물로 지정되었던 주12로 만든 화살대는 임진왜란이순신 장군이 10만 명의 왜군을 쓰러뜨릴 때 큰 역할을 했다.

섬 남쪽에는 오동도 등대가 있으며, 표지기지창(標識基地廠)이 있으며, 여수시의 대표적 관광지로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과거에는 오동도에 가기 위해 1일 14회 운행하는 도선을 이용해야 했으나, 1996년부터 동백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1998년에는 오동도 관광 식물원이 문을 열었고, 2002년에는 걷고 싶은 맨발 공원이 조성되었다. 2002년 관광 식물원 자리에 식물원을 철거하고 음악 분수대가 만들어졌다.

오동도의 방문객 수는 별도로 집계되지 않았으나, 여수시 유료 관광지의 방문객 수를 살펴보면 2021년 4,257,613명이 방문했으며, 계절별로는 8월에 507,933명이 방문하였다. 2019년 6,259,025명으로 최대를 기록하였으나, 2020년 코로나 팬데믹으로 3,951,439명까지 감소하였다가 회복하고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내고장 여수(麗水)』 (여수시, 1981)
『관광전남(觀光全南)』 (전라남도, 1988)
『전남(全南)의 섬』 (전라남도, 2002)
『여수시사』 (여수시, 2011)
『여수통계연보』 (여수시, 2018)
『여수통계연보(2021년 기준)』 (여수시, 2023)

인터넷 자료

디지털여수문화대전(http://yeosu.grandculture.net)
주석
주1

해안 침식과 풍화 작용에 의하여 해안에 생긴 낭떠러지. 우리말샘

주2

개구부의 상부 하중을 지탱하기 위하여 개구부에 걸쳐 놓은 곡선형 구조물. 분리된 조각조각의 상호 압력으로 지탱하는 구조물이다. 활이나 무지개같이 한가운데는 높고 길게 굽은 형상이다. 우리말샘

주3

땅이 약간 언덕진 특성. 우리말샘

주4

노출된 바위가 암벽을 이루고 있는 해안. 우리말샘

주5

해식으로 해식애 밑부분의 연약한 암석이 깎이어 생긴 굴. 우리말샘

주6

풍화 작용으로 인하여 바위 표면에 움푹 팬 구멍. 우리말샘

주7

갯가에 있는 바위. 우리말샘

주8

잔물결과 큰 물결. 우리말샘

주9

해식으로 해식애 밑부분의 연약한 암석이 깎이어 생긴 굴. 우리말샘

주10

모양이 독특하고 이상한 바위와 가파른 낭떠러지. 우리말샘

주11

군인을 훈련하기 위하여 병영 내에 마련한 운동장. 우리말샘

주12

볏과의 상록성 식물. 줄기의 높이는 6~7미터이며, 마디의 사이가 길고, 잎은 좁은 피침 모양이다. 5월에 보라색의 잔꽃이 잎겨드랑이에 원추(圓錐) 화서로 피고 열매는 긴 타원형의 영과(穎果)로 가을에 익는다. 줄기는 낚싯대, 지팡이로 쓰고 죽순은 식용한다. 일본이 원산지로 바닷가나 촌락 부근에서 자라는데 우리나라 남부 지방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