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륜행실도 ()

목차
관련 정보
오륜행실도
오륜행실도
문헌
1797년 이병모 등이 왕명으로 『삼강행실도』와 『이륜행실도』를 합책하여 편찬한 수양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오륜행실도』는 1797년 이병모 등이 왕명으로 『삼강행실도』와 『이륜행실도』를 합책하여 편찬한 수양서이다. 정조는 서문에서 “삼강, 이륜이라는 책이 백성을 감화시키고 풍속을 좋게 이룩한 근본이 되었다고 여겨서 책을 간행한다”고 밝혔다. 이 책은 도판을 먼저 싣고 그 다음에 행적을 붙였다. 권1~권3까지 수록된 효자, 충신, 열녀의 행적은 『삼강행실도』에서 발췌, 수록하였다. 권4~권5의 충신, 종족, 붕우, 사생은 『이륜행실도』의 내용을 그대로 옮겨 실었다. 중간본은 1859년(철종 10)에 간행되었다.

목차
정의
1797년 이병모 등이 왕명으로 『삼강행실도』와 『이륜행실도』를 합책하여 편찬한 수양서.
내용

5권 4책.

고활자 정리자(整理字)로 간행되었다. 책 앞부분에 정조어제윤음(御製綸音)과 당시 좌승지 이만수(李晩秀)의 서(序)가 실려 있다. 현재 초간본은 국립중앙도서관 · 규장각도서 등에 있다.

중간본은 1859년(철종 10)에 목판으로 간행되었는데, 김병학(金炳學)의 서문이 있으며, 현재 국립중앙도서관과 동국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각 이본(異本)에는 장서기(藏書記) · 내사기(內賜記)와 소장기관의 인(印) 및 교열자의 명단 등이 기재, 수록되어 있다. 또한, 삽화본과 언해가 실려 있어, 간본의 변천은 조선시대 판화의 변천과 함께 국어사의 발달과정을 알 수 있는 서지학적 가치를 높이고 있다.

당초에 이 책은 정조의 명에 따라 세종설순(偰循)이 지은 『삼강행실도』와 함께 중종조신(曺伸)이 편찬한 『이륜행실도』를 합책하여 수정한 것을 같은 해에 간행한 것이다.

정조는 서문에서 “앞서 간행된 삼강(三綱) · 이륜(二倫)이라는 책이 선후로 발간되어 학관(學官)에 반포되어 있어 백성을 감화시키고 풍속을 좋게 이룩하는 근본이 되었으므로, 두 책을 표준으로 삼아 향음례(鄕飮禮)를 강조하고 행하게 하고자” 이 책을 간행함을 밝히고 있다.

이 책이 모든 일반 백성을 대상독자로 삼고 있음은 권채(權採)의 서문에도 있듯이, 도판을 먼저 싣고 그 다음에 행적을 붙임으로써 백성들이 그림을 통하여 흥미를 가지게 되고, 연후에 설명을 읽도록 한 체제상의 특징에서도 볼 수 있다.

책의 내용으로 권1에서 권3까지 수록된 효자 · 충신 · 열녀의 행적은 앞서 간행된 『삼강행실도』 중에서 발췌, 수록하고 있다.

즉, 권1의 효자도(孝子圖)에는 민손단의(閔損單衣)를 포함한 역대명현 33인의 효행이 실려 있고, 권2의 충신도에는 용방간사(龍逄諫死)를 포함한 35인의 충신행적이 수록되어 있다.

충신도에는 고려조의 충신 정몽주(鄭夢周)길재(吉再)의 항목도 실려 있음을 볼 수 있다. 권3인 열녀도에는 백희체화(伯姬逮火) 등 35인의 역대 열녀행적이 소개되고 있다.

한편, 권4 · 권5의 충신 · 종족 · 붕우 · 사생은 앞의 『이륜행실도』 내용을 그대로 옮겨 싣고 있다. 즉, 권4의 형제도(兄弟圖)에는 급수동사(伋壽同死)를 포함한 24인의 우애를, 종족도(宗族圖)에는 군량척처(君良斥妻) 등 7인의 사실을, 권5에는 누호양여(樓護養呂) 등 붕우 11인과 사생(師生) 5인의 선행을 기록하고 있다. 수록된 사람들은 대체로 중국인이고, 우리나라 사람으로는 효자 4인, 충신 6인, 열녀 5인만이 실려 있다.

최근에는 초간본을 대본으로 하여 1972년 을유문화사에서 영인, 간행하였는데, 이 영인본에는 이민수(李民樹)의 국역과 역자의 해제가 동시에 실려 있다. 이 책은 조선시대의 가치관과 윤리관을 이해하기 위한 귀중한 자료로서, 또한 국어사의 연구 및 전통 회화사의 연구를 위해서도 많은 관심을 끌고 있는 책이다.

조선 후기 판화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수록한 인물마다 행실을 기리는 찬(贊)과 시를 적은 글 다음에 삽화를 배치하여 모두 150점의 판화를 실었다. 내용과 기법에 있어서 인물 · 풍속 · 산수 · 건물 등 다양한 면모를 살펴볼 수 있고, 당시 유행한 화풍이 반영되어 있으며, 새김기술이 정교하다.

구성을 보면, 『삼강행실도』에서와 같이 다른 시간에 벌어진 2, 3개의 장면을 한 화면에 엮는 복합적인 구성에서 탈피하여 한 장면만을 부각하여 보다 간단하고 실감나게 표현하였다. 아울러 전통적인 부감법(俯瞰法)의 시점을 사용하고 긴장감이 강한 사선구도를 기본으로 하였다.

『삼강행실도』에 비하여 주변의 경물이 다양하고 나무의 종류도 많아졌으며, 건물을 위용있게 그려 보다 풍부하게 화면을 구성하였다. 각선(刻線)의 흐름도 보다 유려하여졌고, 가늘고 굵은 선을 대상에 따라 적절히 그렸다.

인물의 표현, 수지법(樹枝法), 준법(皴法) 등을 보면 당시 도화서(圖畵署)를 중심으로 유행한 김홍도(金弘道)의 화풍이 역력하다. 그러나 아직 김홍도가 그렸다는 증거가 밝혀지지 않았고, 이러한 유형의 작업에는 여러 명의 화원과 각수(刻手)가 참여한 예로 보아, 김홍도나 당시 그의 화풍을 보인 김득신(金得臣) · 이인문(李寅文) · 장한종(張漢宗) 등의 화원이 그렸을 가능성이 높다.

조선 말기에는 판화를 소재로 하여 민화에서 다수 그려졌고, 글과 판화를 필사(筆寫)한 책이 호암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들 판화 가운데 「효아포시(孝娥抱屍)」 · 「누백포호(婁伯捕虎)」 · 「정부청풍(貞婦淸風)」 · 「명수구관(明秀具棺)」 · 「중암의장(仲淹義莊)」 등은 작품성이 뛰어나다.

참고문헌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해제」(김원룡,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82)
「이륜행실도(二倫行實圖)해제」(안병희, 『동양학총서』 6, 1978)
「오륜(五倫)사상의 현대교육학적이해」(손인수, 『한국유학사상과 교육』, 삼일각, 1976)
「오륜(五倫)사상의 현대교육학적이해로서의 신(信)」(이학철, 『한국유학사상과 교육』, 삼일각, 1976)
「오륜행실도(五倫行實圖)해제」(이민수, 『오륜행실도(五倫行實圖)』, 을유문화사, 197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