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권 2책. 목활자본. 1909년 학우 하우식(河佑植)과 작은아버지 만헌(萬憲)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한유(韓愉)의 서문과 권말에 하우식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2에 부(賦) 1편, 시 179수, 권3에 서(書) 10편, 권4에 기(記) 5편, 서(序)·발(跋)·논(論) 각 1편, 제문 4편, 권5에 잡저 3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특히 명승고적을 탐방하여 경치와 감회를 읊은 것이 많다. 「분양회고(汾陽懷古)」 10수와 「금릉회고(金陵懷古)」 7수 등은 그 회고적 성격과 함축된 의미로 깊은 여운을 풍긴다.
「승산(勝山)」 14수 또한 유려한 표현으로 서경과 서정을 잘 조화시켜 시적 운치를 드러내고 있다. 한편, 최익현(崔益鉉)·송병선(宋秉璿)의 순절에 대한 만시는 그들의 우국충정에 대한 공감을 표현함으로써 시대적 양심을 형상화시키고 있다.
잡저의 「최복변증(衰服辨證)」에서는 최복의 규격·치수 등을 상세히 도설하여 이 방면의 연구에 참고자료가 된다. 「독대학강의(讀大學講義)」는 『대학』에 관한 깊은 연구가 있었음을 보이고 있는데, 경의(經義) 해석에 송시열(宋時烈)의 학설을 자주 인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