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강동 정구중 가옥 ( )

목차
주생활
유적
문화재
서울특별시 마포구에 있는 일제강점기 안채 · 행랑채 · 별당 등으로 구성된 주택.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마포구에 있는 일제강점기 안채 · 행랑채 · 별당 등으로 구성된 주택.
내용

1977년 서울특별시 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 집은 언덕 위 부정형으로 생긴 좁은 대지에 동향으로 안채ㆍ행랑채ㆍ별당이 따로따로 건축되어 있다.

길에 면한 대문간행랑채는 평대문의 왼쪽 남쪽 끝에 광 2칸이 있다. 다음 문간방 2칸이 있다. 광 2칸 중 1칸은 방으로 개조되었다. 대문간 북측에 변소가 있다. 변소의 서측으로 꺾인 곳에 1칸의 광이 2개 있고, 그 옆에 뜰아랫방 한 간이 있다.

대문을 들어서면 일단 꺾이어 안마당에 이른다. 안채는 서울지방형 ㄱ자형 평면이 있는데, 지금은 부엌ㆍ건넌방ㆍ누마루 등이 모두 개조되었다. 본래 찬방ㆍ부엌ㆍ안방ㆍ윗방이 한줄로 늘어서고 안방과 ㄱ자로 꺾인 곳에 대청이 있다.

대청 옆에는 전면에 마룻방을, 뒤쪽으로 온돌방, 그리고 이들 옆으로 누마루를 두었으나, 지금은 작은 마루ㆍ누마루를 모두 개조하여 하나의 커다란 건넌방으로 사용하고 있다. 안채 뒤로는 별채의 행랑채가 자리잡고 있고, 이 남측 높은 곳에 장독대가 있다.

별채의 행랑은 一자형 평면으로, 왼쪽인 남측단에 광(현재 욕실)ㆍ함실아궁이(현재 욕실)ㆍ방ㆍ마루ㆍ방 그리고 끝으로 별당으로 드나드는 중간문이 있다. 이 중간문을 들어서면 좁은 별당마당이다. 이 마당 안쪽으로 부엌ㆍ방ㆍ대청ㆍ방으로 구성된 전형적인 서울지방의 ㄱ자집 평면으로 이루어진 별당이 자리잡고 있다.

안채의 기단은 장대석쌓기 한벌대이며 대청으로 오르내리는 곳은 다시 한벌대의 기단을 쌓고 석계(石階)를 놓았다. 대청의 고막이널에는 태극무늬를 조각장식하였다. 오량기구 굴도리집으로 겹처마, 팔작지붕이다.

별당채는 사량가구(四樑架構) 납도리집으로 홑처마 팔작지붕을 이루고 있다. 이 집은 도시의 이형대지(異形垈地)에 세운 개량한옥의 면모를 보여주는 1920년대의 건축이다.

집필자
주남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