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천 용문사 팔상탱 ( ▽)

목차
관련 정보
예천 용문사 팔상탱 중 제1폭 도솔래의상과 비람강생상
예천 용문사 팔상탱 중 제1폭 도솔래의상과 비람강생상
회화
유물
문화재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용문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
이칭
이칭
용문사팔상도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2001년 10월 25일 지정)
소재지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용문사길 285-30 (내지리)
목차
정의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용문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
개설

2001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224㎝, 가로 180㎝. 1709년(숙종 35) 작.

첫 번째 도솔내의상(兜率來儀相)부터 여덟 번째 쌍림열반상(雙林涅槃相)에 이르기까지 팔상도의 전 장면이 4폭에 온전하게 남아 있다. 이 작품은 현재 조사된 팔상도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인 1709년(숙종 35)에 제작되었으며 작품 자체도 수작이어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팔상도이다.

내용

우선 이 팔상도에서 눈에 띄는 특징은 장면이 단순화되고 인물 구성이 간소화되었다는 점이다. 가령 도솔내의상에서 보듯이 상하 2단으로 나누어 상단에는 구름 속의 주악천녀(奏樂天女)에 싸여서 코끼리를 타고 마야부인의 꿈속으로 내려오는 호명보살(護明菩薩) 일행만 보인다. 그리고 하단에는 궁전 누각 위에 시녀 한 명만 데리고 잠을 즐기는 마야부인 일행만 배치되었을 뿐, 지극히 간략화되고 단순화된 구도를 보여준다. 이러한 단순한 구도는 팔상도 각 폭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다.

둘째로 단순화된 구도에 따라 인물이나 기타 대상물들이 모두 큼직하게 묘사되었는데, 인물들의 원만하고 개성있는 형태와 활달한 선묘는 17세기 불화의 영향이 강하다. 17세기 불화의 영향은 밝고 선명한 색상과 다채로운 채색에서도 분명히 나타나 있다.

또한 날카로운 산과 바위의 표현에서 정선(鄭敾)의 화풍을 찾을 수 있으며, 말 같은 동물이나 건물, 수목 등의 표현에서도당시 회화의 특징이 나타난다.

참고문헌

『한국의 미』16-조선불화-(문명대 감수, 중앙일보사, 1984)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