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관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인물
개항기, 선풍을 크게 일으킨 경허로부터 법을 인가 받고 보살행을 실천한 승려.
이칭
수월(水月)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55년(철종 6)
사망 연도
1923년
출생지
충청남도 홍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음관은 개항기 선풍을 크게 일으킨 경허로부터 법을 인가 받고 보살행을 실천한 승려이다. 고아로 성장하여 머슴살이로 생계를 이어가다가 29세의 나이로 서산 천장암에서 태허 성원을 은사로 출가하였다. 이후 평생 동안 밤낮을 가리지 않고 천수다라니를 암송하였고, 병을 고쳐 주는 신통력을 얻어 만주와 간도 지역에서 보살행을 실천하였다.

목차
정의
개항기, 선풍을 크게 일으킨 경허로부터 법을 인가 받고 보살행을 실천한 승려.
생애 및 활동사항

성은 전씨(田氏), 법호(法號)는 수월(水月). 충청남도 홍성 출신. 어려서 부모를 잃고 고아로 성장하였고, 출가 전에는 머슴살이로 생계를 이었다. 어느 주1의 법문을 듣고 출가를 결심하여 1883년 29세의 나이로 서산 천장암(天藏庵)에서 경허(鏡虛)의 친형인 태허 성원(太虛 性圓)을 주2로 출가하였다. 그는 글을 배우지 못했기 때문에 출가 후에도 주로 땔나무를 해오는 주3주4 소임을 도맡아 했다고 한다. 그러나 경전을 들으면 모두 외웠고, 바쁜 일과 속에서도 항상 주5를 암송하는 수행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1887년 그는 성원으로부터 주6를 받고 ‘음관’이라는 이름을 얻었는데, 이와 관련한 일화가 전한다. 성원이 길을 가는데 물이 세차게 떨어지는데도 주7의 소리는 들리지 않았다. 확인해 보니 음관이 방아통에 머리를 박고 잠들어 있었고, 깜짝 놀라 음관을 끌어내니 방앗공이가 다시 방아를 찧었다고 한다. 이 일이 있고나서 음관은 사미계를 받았다. 그리고 어느 날 밤낮없이 주8만 외우는 수행을 7일 동안 하게 되었는데, 그때 천수삼매(千手三昧)를 주9 무엇이든 한 번 들으면 잊어버리지 않는 불망념지(不忘念智)를 얻게 되었고, 사람의 병을 고쳐 주는 신통력을 얻었다고 한다.

한편 ‘수월’이라는 이름은 경허선사로부터 받은 주10이다. 경허의 법을 이은 제자로 흔히 ‘경허의 세 달’이라는 표현으로서 수월, 혜월(慧月), 만공(滿空)을 일컫는데, 이들은 모두 천진암에서 만나 수행을 시작했다. 음관은 이후 스승인 경허의 행방을 찾아다니면서도 수행을 게을리하지 않고 꾸준히 주11을 실천해 나갔다.

오대산의 상원사(上院寺)에서 한암(漢巖)과 함께 정진하다가, 서울을 거쳐 평안북도 영변 묘향산 중비로암(中毘盧庵)에서 3년 동안 머물렀다. 다시 평안북도 강계 천녕산(天寧山) 자조사(子兆寺)를 거쳐, 백두산 밑의 한 농가에서 또 3년을 머물렀다. 이 때 백두산을 넘나드는 길손들에게 짚신과 점심을 제공하는 등 많은 보살행을 쌓았다고 한다. 그 뒤 간도 지방의 동녕현에서 6년 동안 머물렀는데 이곳에까지 사람들이 찾아왔으므로 다시 강청현(江淸縣)으로 가서 화엄사(華嚴寺)를 짓고 8년 동안 머무르다가 1923년 7월 16일에 주12.

입적을 한 날부터 7일 동안 주13이 있었고 다비(茶毘)를 한 뒤에도 많은 사리들이 나왔다고 한다. 그러나 평생 한 글자의 문자도 남기지 않았으므로 그의 사상을 살필 자료가 없다.

또한, 평생을 사람 만나는 것을 꺼려하여 숨어 살았으므로 전기도 뚜렷이 전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불가에서는 그를 높이 평가하며, 주14 뒤에도 조금도 정진을 게을리하지 않았으며, 천수삼매를 얻은 뒤 평생 잠을 자지 않고 정진한 주15의 숨은 도인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진태, 『물 속을 걸어가는 달』(학고재, 2004)
서경보, 『선맥(禪脈)』(아카데미, 1978)
이지관, 『한국불교소의경전연구』(보련각, 1969)
주석
주1

탁발하는 승려. 우리말샘

주2

가르침을 받은 은혜로운 스승. 우리말샘

주3

절에서 땔나무를 하여 들이는 사람. 우리말샘

주4

절에 시주하는 사람. 우리말샘

주5

천수관음의 공덕을 찬탄하고 천수관음의 삼매(三昧)를 나타내는 다라니. 모두 82구(句)로 되어 있다. 이 다라니를 외면 시방(十方)의 부처나 보살이 와서 증명하여 온갖 죄업이 없어진다고 한다. 우리말샘

주6

사미와 사미니가 지켜야 할 열 가지 계율. 오계(五戒) 외에, 꽃다발을 쓰거나 향을 바르지 말 것, 노래하고 춤추고 풍류를 즐기지 말 것, 높고 큰 평상에 앉지 말 것, 제때가 아니면 먹지 말 것, 재물을 모으지 말 것이다. 우리말샘

주7

방아확 속에 든 물건을 찧는 데 쓰도록 만든 길쭉한 몽둥이. 우리말샘

주8

천수관음의 공덕을 찬탄하고 천수관음의 삼매(三昧)를 나타내는 다라니. 모두 82구(句)로 되어 있다. 이 다라니를 외면 시방(十方)의 부처나 보살이 와서 증명하여 온갖 죄업이 없어진다고 한다. 우리말샘

주9

바른 지혜로써 진리를 깨달아 얻다. 우리말샘

주10

승려의 호. 우리말샘

주11

보살이 부처가 되려고 수행하는, 자기와 남을 이롭게 하는 원만한 행동. 우리말샘

주12

승려가 죽다. 우리말샘

주13

빛을 내쏨. 또는 그 빛. 우리말샘

주14

불도의 진리를 깨닫다. 우리말샘

주15

가장 가까운 지난 시대. 우리말샘

집필자
김성연(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전임연구원, 한국근대사(근대불교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