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불교
인물
개항기 양주 천마산에서 『선원소류』, 『설두시집』 등을 저술한 승려.
이칭
설두(雪竇)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24년(순조 24)
사망 연도
1889년(고종 26)
본관
완산이씨(完山李氏)
출생지
전라도 옥과현(玉果縣: 현, 전라남도 곡성군)
주요 저서
선원소류(禪源溯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유형은 개항기 양주 천마산에서 『선원소류』, 『설두시집』 등을 저술한 승려이다. 긍선으로부터 화엄경을 배우고 강석을 이어받아 20여 년 동안 학인을 지도하는 데 힘썼다. 그는 『선원소류』를 지어 긍선의 삼종선 논리를 비판했던 의순과 홍기의 논지를 반박함으로써, 조사선의 우월성과 선과 교가 다르다고 하는 긍선의 주장을 지지하였다.

정의
개항기 양주 천마산에서 『선원소류』, 『설두시집』 등을 저술한 승려.
생애 및 주요활동

완산이씨(完山李氏). 호는 설두(雪竇). 전라도 옥과현(玉果縣 : 지금의 전라남도 곡성) 출신. 아버지는 동복(東馥)이며, 어머니는 박씨이다. 유년에 서숙에서 유학의 전적들을 섭렵하였고, 19세 때 백암산 지장암(地藏庵)에서 쾌일(快逸)을 은사로 득도하고 도암(道巖)을 계사(戒師)로 삼았다.

처음에는 교학을 배워 조계산 한성 강백(翰醒 講伯)으로부터 『화엄경』을 배웠고, 구족계를 받은 뒤 여러 대덕을 찾아 교학을 문답하고, 뒤에 긍선(亘璇)으로부터 『화엄경』을 배웠으며, 도원(道圓)의 법맥을 이었다. 28세에 긍선의 주1을 이어받아 화엄강주가 되어 주2을 20여 년 동안 지도하였다.

1870년(고종 7) 각진국사(覺眞國師)의 옛 도량으로서 퇴락하여 빈터로 남아 있던 영광군 모악산 불갑사(佛岬寺)로 옮겨 절을 중창하였고, 1889년 양주 천마산에서 『선문염송(禪門拈頌)』 강회를 베풀고 강독하였으며, 그 때 『선원소류(禪源溯流)』와 『염송회편(拈頌會編)』을 저술하였다.

그 해 가을 구암사로 돌아와 주3. 나이 65세, 주4 48세였다. 서관(瑞寬) · 태선(太先)과 함께 주5의 3대 강백으로 일컬어졌다.

법맥은 긍선-인유(仁裕)-국찬(國燦)-쾌일-도원-유형으로 이어지며, 제자는 처명(處明), 호정(鎬政), 만익(萬益) 등이 있다. 저서로는 『선원소류』 1권과 『설두시집』이 있다.

학문 및 저술

유형의 저서 중 『선원소류』는 스승이었던 긍선의 삼종선(三種禪) 논리가 타당함을 입증하기 위해 집필한 책이다. 긍선은 『선문수경(禪文手鏡)』에서 선(禪)조사선(祖師禪)여래선(如來禪)의리선(義理禪)으로 구분하고, 그 중에서 조사선이 가장 우월한 선법이며, 선과 교(敎)는 다르다고 주장했다. 그러자 의순(意恂)『선문사변만어(禪門四辨漫語)』를 지어 모든 선은 평등한 효용을 지녔으며 선과 교는 불가분의 관계라고 반박하였다. 긍선과 의순의 사후, 홍기(洪基)가 『선문증정록(禪門證正錄)』에서 의순의 견해를 지지하자, 유형은 『선원소류』를 지어 『선문사변만어』와 『선문증정록』에서 주장하는 내용을 구체적으로 거론하며 주6.

참고문헌

원전

설두 유형, 『선원소류(禪源遡流)』(조영미 옮김, 동국대학교 출판문화원, 2021)
이능화, 『조선불교통사(朝鮮佛敎通史)』(신문관, 1918)
정호경, 『조선선교사(朝鮮禪敎史)』(보련각, 1978, (忽滑谷快天, 『朝鮮禪敎史』))

논문

김호귀, 「『선원소류』에 나타난 선리논쟁의 고찰」(『동아시아불교문화』 43, 동아시아불교 문화학회, 2020)
주석
주1

강의나 강연 또는 설교를 하는 자리. 우리말샘

주2

배우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학자나 문필가가 별호로 쓰는 말. 우리말샘

주3

승려가 죽다. 우리말샘

주4

승려가 된 뒤로부터 치는 나이. 한여름 동안의 수행을 마치면 한 살로 친다. 우리말샘

주5

만행(萬行)과 만덕(萬德)을 닦아 덕과(德果)를 장엄하게 함. 우리말샘

주6

논하여 남의 이론이나 학설 따위를 깨뜨리다. 우리말샘

집필자
김성연(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전임연구원, 한국근대사(근대불교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