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문염송(禪門拈頌)』은 보조국사 지눌(普照國師知訥)의 제자이자 조계산 수선사(修禪社)의 제2세인 진각국사 혜심(眞覺國師慧諶, 1178~1234)이 불교의 화두를 모아 편집한 공안집이다. 내용적으로는 석가모니(釋迦牟尼)를 비롯한 선종의 역대 조사들의 공안과 그에 대한 후인들의 염(拈) · 송(頌) 등 착어(著語)를 모아, 선종의 전등(傳燈) 순서에 따라 배열한 책이다. 당나라 시대 선사들부터 북송시대 선승들에 이르기까지의 공안이 수록되어 있다. 당대 선사들의 공안이 가장 많다.
본래는 혜심이 제자 진훈(眞訓) 등과 함께 1125칙의 공안 및 그에 대한 착어들을 모아 1226년(고려 고종 13)에 30권의 『선문염송집』을 간행하였는데, 이후 몽고군의 침입으로 강화도로 천도할 때 『선문염송집』의 목판이 소실되었다. 이에 혜심의 후배이자 수선사 제3세 사주가 된 청진국사 몽여(淸眞國師夢如, ?∼1252)가 347칙의 공안과 착어를 추가하여 새롭게 편집하였다. 당시 집권자 최우의 아들이자 혜심의 제자였던 만종(萬宗)의 후원으로 1243년(고종 30)에 분사대장도감에서 이 책이 간행되었다. 정안(鄭晏)이 쓴 발문(跋文)에 책의 간행 경위가 구체적으로 소개되어 있다.
『선문염송』은 총 30권으로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보유판(補遺版)의 막함(邈凾) · 암함(巖凾) · 수함(峀凾)에 수록되어 있으며, 이 『고려대장경』 보유판을 저본(底本)으로 하여 조선시대에 여러 차례 다시 판각되었다. 현재 『고려대장경』 보유판 외에 1549년 강원도 금강산 사찰 간행본, 같은 해 지리산 신흥사(新興寺) 간행본, 1568년 법홍산 법흥사(法興寺) 간행본, 1634년 수청산 용복사(龍復寺) 간행본, 1636년 전라남도 보성군 천봉산 대원사(大原寺) 간행본 등이 전하고 있다. 『고려대장경』 보유판을 인쇄해서 간행한 것이 『고려대장경』 영인본에 수록되었고, 『한국불교전서』 제5책에 『선문염송설화(禪門拈頌說話)』와 회편되어 수록되어 있다.
제1권에는 석가모니불에 대한 30가지 화제를 수록하였고, 제2권에는 석가모니 직계 제자들의 화제 41개를 수록하였다. 제3권에는 여러 불경에 실린 화제와 조사에 대한 화제 32개를 수록하였고, 제4권에는 제6조 혜능(慧能)부터 혜충국사(慧忠國師)까지의 화제 33개를 수록하였다. 제5권부터는 중국 선종 오종칠가(五宗七家)의 고승들이 남긴 법문 가운데 화제가 될 만한 것들을 모으고, 그 화제 밑에 염 · 송 · 법어 등을 채집하여 수록하였다. 이 책은 일찍부터 우리나라 선문의 기본 학습서로 채택되어 선종의 승려들은 반드시 이를 공부하였다. 선종선(禪宗選)에서도 이 책에 대한 공부를 반드시 점검하도록 되어 있었다.
초간본(初刊本)은 남아 있지 않으며, 몽고의 전란으로 초판이 불탄 뒤 1244년(고종 31)에 대장도감(大藏都監) 남해분사(南海分司)에서 판을 다시 만들었다. 이때 새로이 347칙을 더하여 1,472칙을 수록하였다. 조선시대에도 여러 차례 개판되어 현재는 1568년(선조 1)의 법흥산 법흥사(法興寺) 간행본과 1634년(인조 12)의 수청산 용복사판(龍腹寺板), 1636년의 천봉산 대원사(大原寺) 개판본, 1682년의 대원사 간행본, 1707년(숙종 33)의 팔영산 능가사판(楞伽寺板) 등이 남아 있다.
이 책에 대한 우리나라 고승의 주석서로는 각운(覺雲)의 『선문염송설화(禪門拈頌說話)』 30권, 일연(一然)의 『선문염송사원(禪門拈頌事苑)』 30권, 유일(有一)의 『선문염송간병(禪門拈頌看柄)』 1권, 의첨(義沾)의 『선문염송기』 1권, 긍선(亘璇)의 『선문염송사기』 5권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