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선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인물
19세기 순천 선암사의 강백이었으며 『치문사기』를 저술한 승려.
이칭
함명(涵溟)
이명
대현(台現)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24년(순조 24)
사망 연도
1902년
본관
밀양 박씨(密陽 朴氏)
출생지
전라남도 화순군
주요 저서
치문사기(緇門私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태선은 19세기 순천 선암사의 강백이었으며 『치문사기』를 저술한 승려이다. 그는 전라도 화순에서 태어나 14세에 화순 만연사에서 출가한 후 순천 선암사 침명 한성에게 경율논의 삼장을 배웠다. 선암사 강원의 강주가 되어 ‘화엄종주’로 평가 받았으며 많은 후학들을 가르쳤다.

목차
정의
19세기 순천 선암사의 강백이었으며 『치문사기』를 저술한 승려.
내용

『함명대선사비문』에 따르면, 스님의 법명은 태선(太先) 호는 함명(涵溟)이다. 그런데 『동사열전』에서는 스님의 법명이 대현(台現)이라고 되어 있다.

1824년(순조 24) 9월 9일 전라도 화순에서 태어났으며, 본관은 밀양 박씨로 아버지는 박양구(朴陽九)이고, 어머니는 동복 오씨이다. 14세에 화순 만연사의 풍곡 덕인(豊谷 德仁)에게 갔다가 이듬해에 출가하였고, 장성 백양사의 도암(道菴)에게 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 그 후 침명 한성(1801~1876)이 강의하는 순천 선암사 강원에서 5년 동안 경 · 율 · 논의 삼장(三藏)을 섭렵하였다.

선암사 강원에서 강의 요청을 받고 선암사의 남암과 북암에서 강의를 하니, 와서 수학하는 자가 끊이지 않았다. 특히 주1에 뛰어나서 훗날 비문에서 ‘화엄종주(華嚴宗主)’라고 평가를 받았다.

하루는 대중에게 말하기를 “지난 3천년의 불교는 소승(小乘)의 가르침을 행하였으니, 부처님의 뜻을 세상에 행하려면 마땅히 대승(大乘)의 가르침이 미래 500세에 펼쳐져야 할 것이다. 이렇게 하지 못한다면 부처님께서 원하는 바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세상의 중생들이 올바른 깨달음을 이루지 못하게 될 것이다.”라고 하였다.

1866년(고종 3) 경붕 익운(益運, 18361915)에게 선암사 강원을 물려주었고, 훗날 익운은 경운 원기(18521936)에게 강석을 물려주었다. 태선으로부터 원기에 이르는 동안 선암사 강원이 크게 번성하였다.

1902년 1월 26일 가벼운 병이 있더니 목욕 하고 단정히 앉아서 입적하였다.

학문과 저술

태선은 일찍이 서석암(瑞石庵)에서 풍곡 덕인의 법등(法燈)을 이었는데, 이는 청허 휴정(淸虛休靜) – 편양 언기(鞭羊彥機) – 풍담 의심(楓潭義諶) – 월저 도안(月渚道安) – 설암 추붕(雪岩秋鵬) – 상월 새봉(霜月璽篈) – 용담 조관(龍潭慥冠) – 규암 낭성(圭岩朗城) – 서월 거감(瑞月巨鑑) – 회운 진환(會雲振桓) – 원담 내원(圓潭乃圓) – 풍곡 덕인으로 이어지는 법맥을 계승한 것이었다.

저서로는 『 치문사기(緇門私記)』 1권이 필사본으로 전한다. 『치문사기』는 불교에서 승려들이 출가 후에 처음 배우는 과목 가운데 하나인 『치문경훈』을 풀이한 책이다.

참고문헌

원전

『동사열전(東師列傳)』 (범해 각안, 19세기 후반)
이능화, 『조선불교통사(朝鮮佛敎通史)』 (신문관, 1918)
주석
주1

화엄종의 교의(敎義)를 연구하는 학문. 우리말샘

집필자
이종수(순천대학교 사학과 교수, 조선불교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