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수산 봉곡사 ( )

불교
유적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봉수산(鳳首山)에 있는 조선 후기 다산 정약용이 『가례질서』를 편집했던 사찰.
이칭
이칭
석암사(石菴寺), 석암사(石巖寺), 서암사(西巖寺)
유적/건물
소재지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봉수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봉곡사는 18세기 말에 다산 정약용이 이익의 『가례질서』를 편찬했던 사찰이다. 고려시대 이래 석암사로 불리다가 1794년에 경헌과 각준이 대웅전을 중수하고 사찰명을 봉곡사로 바꾸었다고 한다. 그런데 정약용의 글에서는 봉곡사와 석암사라는 명칭이 함께 사용되고 있다.

정의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봉수산(鳳首山)에 있는 조선 후기 다산 정약용이 『가례질서』를 편집했던 사찰.
역사적 변천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의 말사이다. 신라 말 도선(道詵)이 창건하였고, 1150년(의종 4) 보조국사(普照國師)가 중창하였다고 전하지만 역사적 신빙성은 거의 없다. 석암사(石菴寺)로 전해오다가 조선 후기에 봉곡사로 사찰명을 바꾸었다.

1481년(성종 12)에 편찬된 주1 온양군조에 “석암사는 송악산(松岳山)에 있다.”고 되어 있으므로, 고려시대부터 전래되어 오던 사찰임을 알 수 있다.

임진왜란 때 폐허가 된 것을 1647년(인조 24)에 다시 세우고, 1794년(정조 18)에 경헌(敬軒)과 각준(覺俊)이 대웅전을 중수하고 사찰명을 봉곡사로 바꾸었다고 한다. 그런데 다산 정약용(17621836)의 『다산시문집』에는 봉곡사가 여러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가령 「목재에게 올리는 글[上木齋書]」에서는 “석암사(石庵寺)에는 거주하는 승려가 30여 명”이라 하였고, 「이계수에게 답함[答李季受]」에서는 “온양 서암사(西巖寺)”라고 하였으며, 「복암에게 답함[答茯菴]」에서는 “옛날에 석암사(石巖寺)에 있을 때”라고 하였다. 또 「봉곡사에서 지은 술회시의 서[鳳谷寺述志詩序]」라는 글을 남겼다. 즉 같은 사찰에 대해 석암사(石庵寺), 서암사(西巖寺), 석암사(石巖寺), 봉곡사(鳳谷寺)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아마도 사찰명을 바꾼지 얼마 되지 않아 여러 명칭을 혼동하여 사용하였던 것 같다. 정약용은 1795년에 봉곡사에서 여러 선비들과 함께 성호 이익(16811763)『가례질서(家禮疾書)』를 편집한 바 있다.

1825년(순조 25) 봄 요사를 중수하는 한편 2층 누각을 신축하였고, 1872년(고종 9) 서봉(瑞峰)이 주2주3 10여 칸을 증축하였으며, 1931년의 중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근대의 고승 송만공(1871~1946)은 1895년(고종 32) 봉곡사 새벽 예불에서 “마땅히 법계의 성품은 모두 마음이 만들어내는 것이라는 것을 관찰해야 한다[應觀法界性 一切唯心造].”라는 게송(偈頌)을 읊으며 주4을 치다가 홀연히 깨달았다고 한다.

국가유산

봉곡사에는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2점과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2점이 소장되어 있다.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는 17세기 후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목조석가여래좌상과 1867년(고종 4) 수화승 해명당 산수와 차화승 춘담봉은이 제작한 지장시왕도가 있다.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는 대웅전 및 고방(庫房)과 관세음보살을 그린 가로 40㎝ × 세로 75㎝의 봉곡사불화가 있다.

참고문헌

원전

『다산시문집(茶山詩文集)』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단행본

이고운, 박설산, 『명산고찰 따라』(우진관광문화사, 1982)
『충청남도지』 하(충청남도, 1979)

인터넷 자료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https://www.heritage.go.kr)
주석
주1

조선 성종의 명(命)에 따라 노사신 등이 편찬한 우리나라의 지리서. ≪대명일통지≫를 참고하여 우리나라 각 도(道)의 지리ㆍ풍속과 그 밖의 사항을 기록하였다. 특히 누정(樓亭), 불우(佛宇), 고적(古跡), 제영(題詠) 따위의 조(條)에는 역대 명가(名家)의 시와 기문도 풍부하게 실려 있다. 55권 25책의 활자본. 우리말샘

주2

절에 있는 승려들이 거처하는 집. 우리말샘

주3

집채의 몸채 뒤쪽에 있는 방. 우리말샘

주4

절에 매달아 놓고, 대중을 모이게 하거나 시각을 알리기 위하여 치는 종.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종수(순천대학교 사학과 교수, 조선불교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