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은유집 ()

목차
관련 정보
의은유집
의은유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박계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7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박계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7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1937년 5세손 인호(寅祜)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명상(李明翔)·홍재관(洪在寬)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인호 등의 발문 3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가(歌) 1편, 시 11수, 서(書) 4편, 문(文) 4편, 기(記) 3편, 절목(節目) 1편, 권2에 부록으로 창의록(倡義錄)·의장록(義將錄)·진군좌목(陣軍座目)·장계(狀啓)·행장·묘지명·묘갈명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가인 「송정가(松亭歌)」는 사언체로 선조가 거처하던 송정을 찬미한 노래이다. 시에는 태극동정(太極動靜)에 대한 철학적 사변을 읊은 이학시(理學詩)인 「태극음(太極吟)」을 비롯하여 「금오산(金烏山)」·「야은선생사우(冶隱先生祠宇)」 등 선현을 추모하는 시가 많은 것으로 보아 당시 순정문학파(醇正文學派)의 특징을 보여준다.

기의 「창의일기(倡義日記)」는 이인좌의 난에 의병으로 참가하였을 때의 일기로 당시의 활약상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문은 모두 의병을 일으키기 위한 격문(檄文)과 군중서약문(軍中誓約文) 등이다.

부록의 「의장록(義將錄)」·「창의록」 등에는 이인좌의 난을 토벌할 때 영남 각 군의 의병장에 대한 인적사항, 중앙 간부들의 명단 및 활동상황들이 기록되어 있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