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수어 ()

이자수어
이자수어
유교
문헌
조선후기 학자 이익이 이황과 그의 문인들의 글 중에서 인격수양에 긴요한 글을 유문별로 모아 엮은 수양서.
이칭
이칭
도동록, 도동편
정의
조선후기 학자 이익이 이황과 그의 문인들의 글 중에서 인격수양에 긴요한 글을 유문별로 모아 엮은 수양서.
편찬/발간 경위

이 책은 이익이 평소 이황의 문집 및 『삼경석의(三經釋義)』·『사서석의(四書釋義)』·『계몽전의(啓蒙傳疑)』·『이학통록(理學通錄)』 등을 읽다가 인격 수양에 긴요한 구절에 방점을 찍어 표시한 뒤에, 그것을 초록하여 40여 년 동안 늘 가까이 두고 보아온 것이다. 제자인 안정복(安鼎福)·윤동규(尹東奎) 등과 상의하여 첨산(添刪)을 가하고 유문별로 편집하였다.

그 뒤 이황의 문인들이 저술한 연보, 이덕홍(李德弘)이 지은 『계산기선록(溪山記善錄)』과 『언행총록(言行總錄)』·『언행습유(言行拾遺)』·『언행실기(言行實紀)』·『언행록(言行錄)』·『언행통술(言行通述)』·『행략(行略)』 등에서도 뽑아 종류별로 덧붙여 편집한 것이다. 주희(朱熹)와 그의 문인들의 기록인 『근사록(近思錄)』의 예를 따르고 있다.

이 책은 처음에 동쪽 땅의 도(道)를 기록한 책이라는 뜻으로 『도동록(道東錄)』이라 하다가 1753년(영조 29) 완성하면서 『이자수어』라고 이름을 고쳤다. ‘이자’란 이황에 대한 존칭이고 ‘수어’란 순수한 말씀이라는 뜻이다. 이 때 간행되지는 못하고, 이익의 조카인 이병휴(李秉休) 등이 필사본으로 간직해오다가, 편집 후 167년 만인 1920년에 김용희(金容禧) 등이 자계서당(紫溪書堂)에서 4권 2책의 목판본으로 간행하였다.

책머리에는 1753년에 쓴 이익의 자서(自序)와 범례·목록 및 인용서책과 이 책에 수록된 문인 및 오랜 친구의 인명록이 실려 있다. 책 끝에는 1753년에 안정복이 쓴 발문, 1754년에 쓴 윤동규의 발문, 1919년에 쓴 김용희의 발문, 1920년에 쓴 이충호(李忠鎬)의 발문이 실려 있다

서지적 사항

4권 2책. 필사본·목판본. 도동록(道東錄)·도동편(道東編)이라고도 한다. 국립중앙도서관·규장각 도서·계명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1에는 이기(理氣)·태극·심성 등 본체론적인 문제로부터 인간의 심성문제 등을 포함한 ‘도체(道體)’를 논한 77개 조항, 학문하는 방법과 순서 등 ‘위학(爲學)’에 관한 39개 조항이 실려 있다. 권2에는 사물에 있어 이치를 궁리하여 격물치지(格物致知)하는 ‘궁격(窮格)’에 관한 91개 조항, ‘함양(涵養)’이라 하여 경(敬)으로 덕성을 함양하는 문제 50개 조항, 성현들의 가르침을 힘써 행하는 ‘역행(力行)’ 방법 등 50개 조항이 실려 있다.

권3에는 ‘거가(居家)’라 하여 가정에 거처하여 부모에게 효도하고 가솔을 거느리는 데 관한 도리·방법 등 86개 조항, ‘출처(出處)’라 하여 나아가 정치에 참여하여 겸선천하(兼善天下)하고 물러나 자신의 몸을 닦아 인격을 완성하는 문제에 관한 34개 조항, 정치를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하는 ‘치도(治道)’에 관한 27개 조항, 정사를 하는 데의 여러 가지 문제와 그 대처방법 등 ‘정사(政事)’에 관한 23개 조항이 실려 있다.

권4에는 ‘교도(敎導)’라 하여 세상을 인도하는 도리에 대해 후생을 교육하는 24개 조항, ‘경계(警戒)’라 하여 항상 스스로 경계하여 내적(內的) 심지心志)나 외적 행실에 잘못됨이 없도록 할 것을 설명한 61개 조항, ‘이단’이라 하여 불교와 노장(老莊) 그리고 양명학(陽明學) 등의 이단을 배척한 글 17개 조항, ‘성현(聖賢)’이라 하여 성현의 도통에 관한 68개 조항이 실려 있다.

이 목판본은 이익이 본래 정한 필사본과는 목차 및 내용에 차이가 있다. 필사본의 목차는 상권은 천도편(天道篇) 17조, 심성편(心性篇) 43조, 독서편(讀書篇) 60조, 궁리편(窮理篇) 39조, 함양편(涵養篇) 46조, 역행편(力行篇)·경계편(警戒篇) 59조, 하권은 거가편(居家篇) 52조, 접물편(接物篇) 23조, 처변편(處變篇) 9조, 교도편(敎導篇) 18조, 인물편(人物篇) 71조, 이단편(異端篇) 9조, 사군편(事君篇) 11조, 출처편(出處篇) 18조, 정사편(政事篇) 11조로 되어 있으며, 부록으로 이황을 찬양한 글 6조가 실려 있다.

참고문헌

『성호문집(星湖文集)』
『간재집(艮齋集)』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조준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