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왕상 ()

목차
관련 정보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의 감실 입구와 인왕상 정면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의 감실 입구와 인왕상 정면
조각
개념
사찰이나 불전의 문 또는 불상 등을 지키는 불교의 수호신. 금강역사 · 이왕 · 이천왕 · 집금강신.
이칭
이칭
금강역사(金剛力士), 이왕(二王), 이천왕(二天王), 집금강신(執金剛神)
목차
정의
사찰이나 불전의 문 또는 불상 등을 지키는 불교의 수호신. 금강역사 · 이왕 · 이천왕 · 집금강신.
내용

흔히 금강역사·이왕(二王)·이천왕(二天王)·집금강신(執金剛神) 등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이것은 인왕이 인도에서 문을 지키는 신(약사신 등)을 불교에서 수용하여 인왕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사찰이나 불상·불사리(佛舍利)를 지키는 수문장으로 사찰의 문이나 불전의 입구, 불상의 좌우, 탑의 문 등에 조각이나 그림으로 흔히 등장하고 있다.

현존하는 가장 이른 인왕상은 신라 선덕여왕 때 조성된 분황사모전석탑 사방문의 인왕상이며, 그 절정의 조각은 석굴암의 인왕상이라 하겠다.

인왕상의 형태는 권법자세, 무기를 든 자세, 또는 무기를 든 자세와 권법자세를 동시에 취하고 있는 상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공통적인 특징은 얼굴은 분노형이며, 상체는 나체형으로 나타낸 점이다.

특히, 우리나라 조각에는 희귀한 편인 근육표현이 적나라하게 묘사된 나신상이라는 점에서도 인왕상의 미술사적 의의는 매우 높다고 하겠으며, 인도 재래신의 불교화라는 점에서 종교적인 관점에서도 관심거리가 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탑부조상(韓國塔浮彫像)의 연구(硏究) -신라인왕상고(新羅仁王像考)-」(문명대, 『불교미술』4, 동국대학교박물관, 1978)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