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관주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지평, 정언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숙빈(叔賓)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32년(영조 8)
사망 연도
미상
본관
풍천(豊川, 지금의 황해도 송화)
주요 관직
지평|정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지평, 정언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풍천(豊川). 자는 숙빈(叔賓). 임기(任墍)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임해원(任海元)이고, 아버지는 임섬(任暹)이며, 어머니는 송필훈(宋必勳)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56년(영조 32)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62년 지평(持平)·정언(正言)을 지내면서 언로 개방을 요구하고, 금위대장(禁衛大將) 이장오(李章吾)가 군부대의 단속 소홀로 인한 대자보 사건을 성토하면서 그의 파직을 건의하기도 하였다.

1767년 정언을 지내면서 언론의 중요성, 『어제유곤록(御製裕昆錄)』 : 난역(亂逆)의 원인을 설명한 책』의 불합리한 서술(敍述 : 난역의 근본이 斯文에 있고, 그 폐해가 홍수·맹수보다 심하다고 한 결론), 보상(輔相)의 잦은 교체, 도상(圖像)을 가져온 삼사신(三使臣) 파직, 제술(製述) 시험 때 성균관 유생을 모독한 도승지 송영중(宋瑩中) 파직, 중외 관원들의 비리 적발, 무장들의 권위 존중 등 10여 가지에 달하는 조목을 지적하고 비판하였다.

그 해 마음 씀씀이가 교묘하고 은밀하다 하여 제주도에 유배되기도 하였다. 1775년 사간(司諫) 때에는 무과 수험생 중에서 시관(試官)을 모욕한 자에 대해서 엄한 형벌과 유배 조치할 것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1777년(정조 1) 집의(集義)에 재직하면서 토역(討逆), 성균관의 개방, 과장(科場)에서의 부정 행위 방지, 궁방(宮房) 시장(柴場 : 뗄감을 마련할 수 있는 땅) 혁파, 북도(北道) 흉황(凶荒)과 관련한 함경감사 조중회(趙重晦) 파직 등의 일을 처리해 주도록 청하였다. 또 관리의 잦은 교체를 비판하고, 각 군문의 개인 주택을 수용, 철거하는 행동을 시정시켜 줄 것을 주장하였다.

1782년에 대사헌 김이소(金履素)의 주청에 따라 흑산도(黑山島)로 유배되었다. 1784년에 남해(南海)에서 유배생활을 하다가 풀려났다. 1801년(순조 1) 복관되었다.

참고문헌

『영조실록(英祖實錄)』
『정조실록(正祖實錄)』
『순조실록(純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